오피니언

오피니언

[기고] 시청자 관점에서 본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

시청자 관점에서 본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EBS에만 허용된 지상파 다채널, 현재 추가 허용 계획 없어" 지상파 다채널 방송 도입 등 무료 보편적 서비스, 공공 서비스 강화로 무료 방송 플랫폼 복원 정책 절실   시청자 관점에서 본 지상파 다채널...

[칼럼] 4.13 총선 보도의 원칙

4.13 총선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다. 지상파 방송의 저널리즘 기능이 심각하게 위축된 가운데, 종편과 보수 신문 등을 필두로 한 이번 선거 보도에 대한 우려를 지울 수 없다. 우리나라 선거 보도의 가장 큰 고질적인 문제는...

[사설] 공수표가 아닌 공약(公約)을 듣고 싶다

4월 총선을 앞두고 정치판이 시끄럽다. 선거구를 놓고는 여야가, 공천을 놓고는 당내 계파 갈등이 첨예하게 부딪히고 있다. 투표를 며칠 안 남겨두고 나오는 각 당과 후보자들의 공약 경쟁도 뜨겁다. 새누리당은 일자리 창출을 핵심으로 △유턴기업 경제특구 설치...

[기고] 2016년 방송 정책의 주요 이슈와 정책 방향

올해는 국내 방송 시장 및 관련 정책 방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모멘텀을 갖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와 같이 방송 정책의 틀과 방송 시장 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칼럼] 천재가 나르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00년 전에 예언했다던 ‘중력파’의 존재를 실증했다고 해 과학계가 난리다. 완성된 지는 25년이나 됐지만 본격 가동된 지는 6개월밖에 안 된 라이고(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에서 그 실체를 증명했다고 한다. 그 측정 원리는 중력파가 지나가면...

[사설] 지상파 UHD 활성화 위해 중간광고 허용과 수신료 현실화돼야

작년 12월에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가 지상파 UHD 방송 도입을 위한 정책 방안을 발표하면서 2017년 2월 수도권 지역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전국적인 UHD 방송 환경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이에 따라 지상파 3사는 실무진을 구성하고 투자 계획을 수립하는 등...

[기고] 왜, 지상파방송의 중간 광고를 禁하는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광고시간 단가가 지상파방송 광고시간 단가를 추월했다는 소식이다. 방송광고시간을 거래하는 시장에서 광고주들이 지상파방송의 방송광고시간보다는 PP의 방송광고시간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지상파방송을 이용한 광고에 대한 광고주들의 기대가 낮아지고 있는 것인가? 그렇다면...

[칼럼] 국제방송, 제도적 시스템 구현해야

아리랑 국제방송의 방석호 사장이 초호화 출장을 다니며 국민 혈세를 낭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과정에서 해외 출장에 가족을 동반해 세금을 사적으로 유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지출문서를 위조한 정황도 드러났다고 한다. 이번 사태는 현재 아리랑...

[사설] UHD 방송을 계기로 직접 수신을 늘려야

지상파 사업자와 케이블 사업자의 재송신료 갈등이 원만히 해결되지 못하고 VOD 공급 중단과 철회로 이어지고 있다. 이달 초 KBS, MBC, SBS 지상파 3사는 씨엔엠을 제외한 전국단위 케이블 사업자들에게 VOD 콘텐츠 공급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에 반발해...

[기고] ‘을’도 되지 못하는 ‘시청자’

2016년 새해가 밝았다. 그러나 밝고 희망차야 할 새해부터 우리 사회는 여러 가지 문제로 시끌시끌하다. 이 중 하나가 지난해 말부터 시작됐고 얼마 전에 극적으로 타결된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유선 방송사(SO) 간의 VOD 분쟁이다. 거대 플랫폼 사업자 간의...

[칼럼] 선거보다 치열한 선거 개표 방송

국회의원 총선거가 이제 얼마 안 남았다. 이번 국회의원 선거는 총 60% 이상을 당선시켜서 국회 선진화법을 무력화시키겠다는 여당과 그럴 수는 없다는 야당(들)의 결기가 부딪치는 선거가 될 것 같다. 물론 선진화법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겠지만 말 그대로...

[사설] 넷플릭스 파장?

이달 초 미국 라스베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쇼 CES에서 미국의 동영상 서비스 사업자인 넷플릭스가 세계적으로 사업을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지난 1월 7일 한국에 서비스를 시작한 넷플릭스는 싱가폴, 터키, 인도네시아 등 세계지역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CEO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