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홈 기획
디지털 홀로그램 신호처리 방식
| 디지털 홀로그램 서비스
디지털 홀로그램 서비스에 대한 개념은 그림 1과 같다. 3차원 영상 정보를 추출한 후에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omputer-generated hologram, CGH)’ 기술을 통해서 홀로그램을 획득하고, 여기에 신호처리 기술을 거친다. 처리된 홀로그램은 SLM(Spatial Light Modulator)을...
디지털 홀로그램 국내연구 현황
디지털 홀로그램 국내연구 현황
광운대학교 교양학부 서영호 교수
1. 서론
2009년 하반기부터 달궈지기 시작한 3D 입체영상 산업은 올해 들어 우리나라의 경제를 떠받칠 확실한 성장동력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의 사회적인 현상을 볼 때 3D가 방송·영상 산업의...
디지털시대의 라디오방송
디지털시대의 라디오방송
1. 라디오의 미래
디지털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라디오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혹자는 라디오의 시대가 막을 내리느냐 아니면 새로운 시장으로의 변화를 가져오느냐에 대해서 서로 다른 예측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여러 방면에서의 라디오 청취도와 매체 선호도...
MAM 이야기
필자가 방송국에 첫발을 디디던 90년대 초에는 1인치 비디오 테입 레코더가 주력 기종이었다. 생각해 보면 그 시절의 녹화실(錄畵室)은 엄청난 설비와 근무기강이 있었다. 일단 소리로 기를 죽인다. ‘위~~잉’, ‘푸~~쉬’, ‘따~~악’ 하는 소리를 내질러서 왠지 범접하기 어려운...
내 삶의 패턴을 바꾼 아이폰에 대한 단상
올해 1월에 회사에서 아이폰을 지급 받았으니 아이폰을 사용한지 8개월이 다 되간다. 불과 작년만 해도 스마트폰 없이도 생활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었다. 휴대폰으로 통화를 하고, 인터넷은 집 또는 회사에서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을 이용하면 됐고, MP3로 음악을 듣거나...
스마트폰은 방송사에 약인가 독인가?
7월을 기점으로 삼성의 갤럭시S가 출시 되면서, 그동안 아이폰으로 대변 되던 스마트폰 시장에 일대 파란이 일어났다. 마침 지상파 방송사 사원들의 핸드폰 교체를 시작하면서, 그러한 파란은 이제 방송사 내부까지 피부로 와 닿게 되었다. 일부 지상파 방송사는...
스마트폰, 세상과 대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다!
지금으로부터 약 2,500여 년 전에는 ‘우리 아테네군이 승리했다’는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마라톤 드넓은 평원, 42km의 거리를 목숨 걸고 뛰어야 했던 ‘필리피데스’라는 병사가 있었다. ‘구글토크(Google Talk)'를 통해서 미국으로 유학 간 친구와 손가락만 몇 번 움직이면...
스마트폰으로 생활이 변화되다
스마트폰 가입자가 300만을 넘어서면서 스마트폰 시대가 열렸다. 2009년 12월부터 급속도로 확산된 스마트폰은 이제 ‘열풍’을 넘어서 ‘생활의 중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침에 눈을 뜨고 밤에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스마트폰이 없으면 살기 힘들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FCC, 120MHz 더 내놔!
방송사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
지난 6월 28일,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미국 대통령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가 대중화되며 꾸준히 늘고 있는 미국 내 무선인터넷 사용규모에 대응한다는 목표로, 기존에 547MHz 가량의 대역폭을 사용하던 무선인터넷 진영에 500MHz...
대한민국 소비자의 세대별 라이프스타일 및 미디어 이용행태
MCR(Media & Consumer Research)를 통해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대한민국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미디어 이용행태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자들이 매일 또는 거의 매일 이용하는 미디어는 지상파TV가 77%로 가장 높고 인터넷이 53%로 2위를 기록했으며, 케이블TV(36%)와 신문(32%)이 뒤를 이었다....
방송주파수 활용 방안
지상파방송은 국민이 스스로 수상기를 장만하여 시청하는 범용이면서 무료보편적서비스이므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시청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무선 전파를 통하여 전달된다. 그러므로 장기적 미래를 예측하지 못한 근시안적인 주파수 정책이나 활용방안의 함량미달이나 시행착오는 결국 시청자에게 낙후된 서비스를...
‘K-View 플랜’ 이것이 궁금하다!
K-View의 K는 Korean을 의미하며, 우리나라 지상파 전체를 무료 지상파 다채널 플랫폼으로 재구성하자는 의미로 보면 된다. 영국의 Freeview에서는 2002년 Freeview 출범 당시 공영방송인 BBC가 주도하여 Freeview를 성공적으로 론칭하였으며, 2005년 10월에 민영방송인 Channel 4, ITV가 참여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