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홈 기고
[기고] 인공지능, 플랫폼 전쟁이 시작된다
IBM Watson의 임원인 David Kenny는 인공지능이 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AI as a Service’ 시대를 예견한다. 마치 소프트웨어나 서버 인프라 등을 기업이 직접 구현하거나 구축하지 않고 서비스 형태로 제공된 ‘SaaS(Software as a Service), IaaS(Infrastructure...
[기고] 각국 저작권 확보 방안
이 글에서는 한국, 일본 그리고 EU가 해외에서 자국 저작물을 어떻게 보호하고 있는지를 정리했다. 그리고 중국에서 이뤄지는 외국 저작물의 불법 복제에 대응해 중국 정부와 외국의 민간단체(또는 정부)와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를 정리했다.
1. 한국의 해외...
[참관기] 3D 사운드, 가상(Virtual)이 아닌 현실(Reality)로!!
2016 AES Paris Convention
AES Convention은 AES(Audio Engineering Society, 국제오디오공학회)가 주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오디오 행사로 컨벤션과 콘퍼런스가 매년 유럽과 미주 대륙을 오가며 두 번씩 개최된다. 참가자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오디오 전문가와 미디어그룹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참관기] CCBN 2016으로 본 중국의 방송기술
이번 중국국제방송케이블위성기기박람회(CCBN) 참관은 중국중앙방송(CCTV) 방문과 중국전영전시기술학회(CSMPTE) 회장단 미팅을 겸해 이뤄졌다. 참관 첫날은 CSMPTE 회장단과 미팅이 있었고, 둘째 날은 CCTV 견학, 셋째 날은 CCBN 전시회 참관을 실시했다.
CSMPTE(China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V Engineers)를 만나다
CSMPTE는...
[기고] 시청자 관점에서 본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
시청자 관점에서 본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EBS에만 허용된 지상파 다채널, 현재 추가 허용 계획 없어"
지상파 다채널 방송 도입 등 무료 보편적 서비스, 공공 서비스 강화로 무료 방송 플랫폼 복원 정책 절실
시청자 관점에서 본 지상파 다채널...
[기고] 2016년 방송 정책의 주요 이슈와 정책 방향
올해는 국내 방송 시장 및 관련 정책 방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모멘텀을 갖는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와 같이 방송 정책의 틀과 방송 시장 구조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기고] 왜, 지상파방송의 중간 광고를 禁하는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광고시간 단가가 지상파방송 광고시간 단가를 추월했다는 소식이다. 방송광고시간을 거래하는 시장에서 광고주들이 지상파방송의 방송광고시간보다는 PP의 방송광고시간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지상파방송을 이용한 광고에 대한 광고주들의 기대가 낮아지고 있는 것인가? 그렇다면...
[기고] ‘을’도 되지 못하는 ‘시청자’
2016년 새해가 밝았다. 그러나 밝고 희망차야 할 새해부터 우리 사회는 여러 가지 문제로 시끌시끌하다. 이 중 하나가 지난해 말부터 시작됐고 얼마 전에 극적으로 타결된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유선 방송사(SO) 간의 VOD 분쟁이다.
거대 플랫폼 사업자 간의...
[신년사] UHD 방송의 선도국이 되는 한해가 되길 기원하며
이후삼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장
전국의 방송기술인 및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어느덧 2015년 을미년(乙未年) 청양띠가 저물고 2016년 병신년(丙申年) 붉은 원숭이띠의 해가 밝았습니다. ‘붉다’는 따뜻하고 활력이 넘친다는 의미며, 원숭이는 영리한 동물의 대표 격입니다. 올 한 해 방송기술인 여러분의 가정에도...
[신년사] 방송기술저널 편집주간
유주열 방송기술저널 편집주간/SBS방송기술인협회장
안녕하십니까. 신임 편집주간을 맡은 SBS 유주열입니다.
재주 많고 영리하기로 알려진 원숭이띠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특별히 밝고 따뜻한 기운을 의미하는 붉은 원숭이의 해라고 합니다. 긍정의 좋은 기운 많이 받으시고 원하시는 모든 일을 이루시는 해가 됐으면...
[기고] 방송 콘텐츠 해외 유통 환경 변화와 대응 전략
하주용 인하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지난 호(221호)에 이어>
우선 동남아 지역에서 정보 통신망에 대한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의 전송망 수준을 고려하면 이용자를 상대로 직접 콘텐츠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선불 요금제 중심의 통신 요금 구조,...
[기고] 방송 콘텐츠 해외 유통 환경 변화와 대응 전략
하주용 인하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2000년대 초 중국에서의 드라마 한류(Korean Wave)를 시작으로 일본을 거쳐 지금은 케이팝(K-Pop) 열풍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국내 방송 콘텐츠 수출이 크게 증가했다. 방송 콘텐츠 수출의 증가는 문화적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경제적 효과와 국가...
![[참관기] CCBN 2016으로 본 중국의 방송기술](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16/03/6-1-1-180x135.jpg)
![[기고] 시청자 관점에서 본 지상파 다채널 서비스 "EBS에만 허용된 지상파 다채널, 현재 추가 허용 계획 없어"](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16/03/7937_9752_56221-180x135.jpg)
![[기고] 2016년 방송 정책의 주요 이슈와 정책 방향](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15/12/pdf-180x135.jpg)
![[기고] 왜, 지상파방송의 중간 광고를 禁하는가?](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16/02/7824_9708_49141-180x135.jpg)
![[신년사] UHD 방송의 선도국이 되는 한해가 되길 기원하며](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16/01/7699_9662_9431-180x135.jpg)
![[신년사] 방송기술저널 편집주간](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16/01/7698_9663_11521-180x13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