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중간 광고 허용 무슨 명분으로 늦추고 있는가

[사설] 지상파 중간 광고 허용 무슨 명분으로 늦추고 있는가

1322

[방송기술저널=유주열 방송기술저널 편집주간] 수많은 우려와 기대 속에 개막된 세계인의 축제 브라질 올림픽이 성황리에 폐막됐다. 우리나라와 시차가 정반대인데다가 극심한 열대야까지 겹쳐 우리 국민들은 여러모로 힘들게 올림픽을 즐길 수밖에 없었다. 시차가 우리와 맞지 않고, 광고 시장의 불황까지 겹쳐 올림픽 광고 특수를 바라봤던 방송사들의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져 내렸다. 광고 판매액은 이전 런던 올림픽에 비해 반 토막 수준으로 내려앉았고, 급기야 고정비용으로 지출된 중계권료에도 못 미치는 역대 최악의 올림픽 수지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한다.

전 국민의 관심사인 올림픽이나 월드컵 중계의 경우 막대한 중계권료 및 제작비 상승으로 이제 더 이상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아닌지 오래다. 지상파로서도 이제는 빅 이벤트 중계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할 시점이 왔다고 할 수 있다. 무조건 거금을 들여 중계권을 사들이고 대규모의 방송단을 현지에 파견해 각 방송사가 중복 중계하는 등의 구태의연한 관행에서 이제는 탈피해야 할 것이다.

물론 광고 판매가 줄어든 이유는 여러 가지로 분석해 볼 수 있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계속되는 세계의 경기 침체 여파로 기업들이 광고 비용을 줄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최근 모바일 플랫폼의 급격한 성장으로 기존의 지상파TV 매체 대신 모바일 광고로 대체되고 있는 것도 큰 원인 중의 하나다. 최근 지상파의 광고 판매가 급격한 하향세를 타는 것과도 맥락을 같이한다. 반면 종합편성채널과 케이블 PP들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것은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청자의 알 권리인 공적인 책무를 수행하려면 지상파 광고 제도의 근본적인 변화가 있어야 한다. 첫 번째로 지상파에 비대칭 규제 조항인 ‘중간 광고’의 전면적인 허용이 절실히 필요하다. 지상파를 제외한 중소 매체의 균형 발전을 위해 보류하고 있던 상황이라면 이제는 그 명분도 사라졌다. 광고 매출에서 증명되듯이 이미 수많은 군소 매체들이 충분한 자생력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다매체, 다채널 환경 속에서 수많은 미디어가 경쟁하는 시대에 오로지 지상파만을 옥죄는 낡은 규제를 이제는 과감히 철폐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박근혜 대통령이 정부의 규제 개혁 관련 회의에서 누누이 강조하던 ‘화끈한 규제 개혁’으로 경제 활성화를 주문했던 것과도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당장 내년 2월 세계 최초의 UHD 본방송을 준비하는 지상파는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는 데 큰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광고 수익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막대한 초기 시설 투자 비용 및 UHD 콘텐츠 제작 비용 마련을 위해 심각한 고민에 빠져있는 방송사에 실효성 있는 도움이 되는 방안은 중간 광고 허용일 것이다. 중간 광고 규제의 명분이 사라진 현재 그 무엇보다 정부에 필요한 것은 성공적인 UHD 본방송을 위한 결단력 있는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