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오피니언

[칼럼] 챗GPT는 반도체 시장을 바꿀까?

지난 3월 GPT-4 발표 이후 산업별로 생성형 AI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챗GPT가 쏘아 올린 위기의식의 중심에는 ‘일자리’가 있다. 인공지능(AI)에게 내 일자리를 빼앗길 수 있다는 걱정 때문이다.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대한민국 대표...

[사설] 수신료 징수 체계 논란과 공영방송

전기요금 징수원이 매달 가가호호 방문하여 전기료를 거둬가던 시절이 있었다. 세금이 아닌데도 전기요금을 전기세(稅)라 불렀다. 세금이나 다름없는 공공요금이었기에 그렇게 부르지 않았을까, 전기요금은 조세도 부담금도 아닌 물가안정법의 적용을 받는 공공요금이다. 텔레비전방송수신료는 어떠한가. 이 또한 세금은...

[사설] 국제 방송장비 전시회의 의미와 역할

지난 4월 15일부터 19일까지(현지 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는 국제 방송장비 전시회인 NAB SHOW 2023이 개최되었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잠시 중단되기는 했었지만 2022년에 다시 시작하여 올해로 100회를 맞이하였다. 올해도 우리나라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기업, 방송사, 연구기관 등이 참여한...

[칼럼] 챗GPT, 검색의 시대를 끝낼 수 있을까?

OpenAI사의 GPT-4가 발표된 지 한 달여 지나고 있다. 2022년 11월 30일 챗GPT를 처음 내놓았을 때보다 반응이 뜨겁다. 챗GPT보다 학습량 매개변수가 50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추정되면서 통제 불가능한 미래 세상을 앞당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기고] GPT를 향한 대중적 관심의 실체와 미디어 산업의 활용사례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3년 4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지난 <방송과기술> 3월호에서는 뜨거운 관심과 논란으로 연일 화제의 중심에 선 ChatGPT를 살펴보았다. 현시점에서 ChatGPT의 등장과 활용이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지 개괄적 차원에서 개념, 평가, 능력, 역기능을 간략히...

[칼럼] 범용기계로 진화하려고 하는 인공지능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의 암호를 풀기 위해 노력한 앨런 튜링에 관한 영화이다. 이 제목은 ‘기계는 말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을 얻고자 그가 제안한 테스트에서 비롯되었다. 커튼 뒤에 사람과 기계를 두고...

[사설] 수신료와 공영방송 위기

최근 대통령실에서 TV 수신료 징수 방식 여론조사를 진행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009년과 2016년 법원 판결에 따라 ‘한전의 수신료 위탁징수 조항은 합헌’이며, ‘전기요금 고지서에 결합하여 수신료를 징수하는 것도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다.’라는...

[기고] 슬램덩크의 ‘특별한 성공 요인’ 도출하기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3년 3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일본의 만화작가 이노우에 다케히코의 <슬램덩크(SLAM DUNK)>가 처음으로 발간된 게 1990년. 올해가 2023년이니 <슬램덩크> 만화의 캐릭터는 현시점으로부터 33년 전에 태어난 셈이다. <슬램덩크>의 고교 농구선수 캐릭터들이 실제 살아있는...

[성명서] 공영방송 흔들기를 당장 중단하라!

공영방송 흔들기를 당장 중단하라! 대통령실은 KBS TV 수신료 징수방식에 대한 의견 수렴을 진행 중이다. 2009년과 2016년 법원 판결에 따라 ‘한전의 수신료 위탁징수 조항은 합헌’이며, ‘전기요금 고지서에 결합하여 수신료를 징수하는 것도 법률에 위배되지 않는다.’라는 결론이...

[기고] ChatGPT가 던진 지금의 AI와 혁신

신기술 도입과 활용은 시대적 변화와 요구를 가장 혁신적으로 반영하는 방법일 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가시적으로 혁신적인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산업 내 이목을 집중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 경쟁자 사이에서 시장을 선점할 기회를 얻기도 한다. 이제...

[칼럼] 컬러 푸드 같은 방송을 찾아

우리의 가장 큰 소망 중 하나는 건강하게 사는 것이다. 그래서 ‘웰빙’이라는 단어는 고귀하고 품격 있게 느껴진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먹는 ‘음식’과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의학의 아버지라는 히포크라테스도 “음식으로 고치지 못하는 병은 약으로도 고칠...

[기고] 스펙터클한 도시 연출, 미디어 파사드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3년 2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도시 공간은 언제나 각양각색의 건축물과 조형물로 시각적인 즐거움이 가득하다. 도시에서는 특별한 경험을 하지 않아도 거리를 거닐며 주변 경관을 바라보는 것으로도 지루할 틈이 없다. 이는 도시 공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