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홈 오피니언
[칼럼] 남의 떡:커도 너무 크다
미국 최대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인 Netflix가 우리나라에도 진출할 것 같다. 9월 1일부로 Netflix는 SoftBank를 통해 일본에서 서비스를 개시했다. Netflix 글로벌사업총괄책임자가 9월 9일 BCWW(국제방송영상견본시)에서 기조연설을 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는 내년 초에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사설] UHD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과 지상파 규제 완화를 기대한다
700MHz 대역 주파수 분배 방안이 확정됨에 따라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를 주축으로 지상파 UHD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전담반도 구성되고 정부기관인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도 올해 안으로...
[기고] 세상과 통하다, EBS 국제다큐영화제
정경희 ㈜마음에드는영화사
2015년 한국 영화계 최대 화제는, 올해 첫 천 만 관객을 돌파한 <국제시장>도, <암살>이나 <베테랑>도 아니다. 그 주인공은 어느 노부부의 사랑과 죽음의 이야기를 담아낸 다큐멘터리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다. 대작들이 즐비한 극장가에서 제작비...
[기고] 콘텐츠 유통과 저작권 침해
Ⅰ. 들어가는 말
인터넷의 발달은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방송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장점도 주었지만, 한편으로는 불법 온라인 유통을 가능케 해 저작권자들에게 큰 피해를 안겨주고 있다. 웹하드에 이어 최근에는 토렌트(Bit torrent)가 콘텐츠 불법 유통의 온상이...
[칼럼] 방송 광고 규제 완화 정책의 문제점
방송광고 총량제와 중간광고 논의에 이어 최근 방송광고 정책에 대한 이슈가 또다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방통위가 2015년 7월과 8월 각각 제안한 ‘가상광고 세부기준 등에 관한 고시 제정안’과 ‘협찬고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이 그것이다. 지난주만...
[사설] 정부의 종편 사랑은 언제까지 인가?
방송통신위원회가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방송통신발전기금 징수를 올 한 해 유예키로 결정했다. 최근 의결된 ‘방송통신발전기금 분담금 징수 및 부과 등에 관한 고시 전부 개정안’에 따르면 종편과 보도전문채널은 내년부터 0.5%의 방발기금을 내게 된다. 출범 당시 갓난아기에...
[칼럼] 지상파 부가 방송 서비스:그 고된 여정
2002년은 지상파TV의 최고 전성기였다. 한일월드컵이 있었고, 얼마 전 회자됐던 동명 영화의 소재인 연평해전이 있던 해였다. 지상파TV는 광고매출이 최대치에 달했고, 콘텐츠 경쟁력은 하늘을 찌르던 해였다. 그때를 정점으로 매출 면에서 하향곡선을 걷고 있는 지상파를 오아시스로...
[사설] 재송신 협의에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상파와 유료방송간 재송신료(CPS)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지상파 재송신 협의체를 발족하고 8월 11일 1차 회의를 개최했다. 그러나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해 당사자인 자신들이 참여하지 않은 재송신 협의체는 편파적일 수밖에 없다며 협의체 구성을 원점에서...
[기고] 방송 콘텐츠의 가치 정상화와 바람직한 재송신 질서
1. 들어가며
일단락된 것처럼 보였던 지상파 재송신 대가의 갈등은 케이블 방송사업자에 의해 2012년 이후 재송신 제도 전반에 대한 정책적 재검토가 요구되면서 새로운 논란이 재개됐다. 제1라운드의 갈등은 과연 지상파 방송을 동시 재송신하는 것에 대해서 지상파...
[사설] DMB 방송의 재발견
2005년 12월에 지상파 DMB 방송이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실시됐다. ‘손 안의 TV’로 불리며 등장한 DMB는 이동 중에 TV, 동영상, 라디오, 문자 방송 수신이 가능토록 만든 순수 국내 기술로 다양한 산업적 파급효과는 물론 기술...
[칼럼] 구글과 EU,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
구글은 글로벌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에서 88.8%를 기록할 만큼 시장 지배적 사업자다. 유럽 주요 국가에서도 높은 검색엔진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유럽 시장에서 가장 뚜렷한 구글의 시장 지배적 지위는 스마트 플랫폼 OS의 점유율에서 나타난다. 2014년...
[기고] 책과 함께 떠나는 여름휴가
이 책 가지고 휴가가자! 휴가철 추천도서 10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