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오피니언

[기고] 기술발전에 따른 지상파방송의 경쟁력 약화현상과 대책

디지털 기술에 의해 정보통신,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컴퓨터 기술이 크게 발전해왔고, 이러한 기술들이 상호 결합되면서 방송통신 융합현상이 가속되고 있다. 케이블, 위성, 인터넷과 같은 전달매체의 다양화에 의해 수용자가 선택할 채널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전파 희소성과 공영성을...

방통위원회 비공개회의, ‘통제받지 않는 권력’의 전형

방통위원회 비공개회의, ‘통제받지 않는 권력’의 전형 윤익한(공공미디어연구소 연구원) 대통령의 최측근인 최시중 방통위원장의 선임 논란과 한나라당, 민주당의 방통위원 선임의 불투명성, 그리고 구 정통부와 구 방송위 간의 직제와 조직정비에만도 수개월의 시간을 허비한 방통위원회가 비공개 회의 진행으로 출범 초기부터...

‘콘텐츠 동등 접근권’ 방송환경에 미칠 영향 우려

‘콘텐츠 동등 접근권’ 방송환경에 미칠 영향 우려 “IPTV사업자만을 위한 것이라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고찬수/KBS PD ‘콘텐츠 동등 접근권’이라...? IPTV법으로 알려진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의 국회 통과로 그동안 들어보지 못했던 새로운 용어가 나타났다. 콘텐츠라는건 알겠는데 ‘동등접근권’이라니 무슨 의미일까? 우선 이런...

[사설]지상파DMB 천만대 호황에 방송사업자는 존폐위기

지상파DMB 천만대 호황에 방송사업자는 존폐위기 지난 2005년 12월 1일 지상파DMB 방송이 시작한 후 2년 4개월 만에 이용자수가 천만 명을 돌파했다. DMB는 출범 전까지 지상파방송의 이동수신용 서비스로 추진해왔지만, 방송위는 “내 손 안의 TV”로 장밋빛 전망이 나오면서...

‘지상파DMB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문 효 선(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장) 박 성 규(SBS방송기술인협회장) 김 윤 섭(지상파DMB특별위원회 사무국장) Q : 7월 시범서비스 실시와 오는 12월 본 방송을 앞두고 있는 자상파DMB 추진 현황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7월 시범서비스는 어떻게 준비되고 있습니까? A : 이미 언론에...

디지털 방송전환,점검이 필요한 때

/김 명 남 KBS 정책기획센터 기획팀 1997년 7월 재정경제부, 문화관광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환경부 등 정부 5개 부처가 공동으로‘디지털 지상파방송 조기방송종합계획’을 발표하였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동시방송 실시기간은 본방 송 개시 후 5년까지 의무화하고, 아날로그 TV방송의 전면 금지시기는...

HDTV 방송전환의 과제

HDTV 방송전환의 과제                                                  김광호(서울산업대학교 교수)  이미 세계적 추세라고 할 수 있는 디지털TV로의 전환은 국내에서도 2001년 말 방송 3사가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디지털 지상파TV의 본 방송을 통해 시작되었다. 정보통신부는 장기적으로 2005년 12월까지 시·군 소재 지역...

지상파의 위기와 케이블TV의 약진

/SBS방송기술인협회장  정보통신기술사  박  성  규   지난호에서 지상파방송은 과거 독점적 위치에서 점점 더 경쟁이 치열한 레드오션 상황으로 들어가고 있음을 경고하였다. 이번호에서는 지상파방송의 가장 강력한 경쟁매체로 성장하고있는 케이블방송의 약진에 대해 알아본다.   케이블TV는 1995년에 정식으로 출범하였다. 그동안 유선방송이란...

[이종화의 디지털 세상 보기] BJ들의 반란

BJ(Broadcasting􀀃Jockey) 들의반란     방송이란 방송사업자가 불특정 다수에게 방송법이 허용하는 콘텐츠를 내보내고, 수신자가 표준화된 수신장치를 통해 그 콘텐츠를 접하게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은 그 영향력이 지대하기 때문에 규제의 대상이 될...

방송발전기금을 시청자에게!

방송발전기금을 시청자에게!   이진행 (익산공공영상미디어센터 미디어연구소)   버림받은 시청자들 2008년 6월 27일, 방송통신위원회의 소외계층 방송 접근권 보장 사업 (장애인 방송 접근권 보장)과 미디어교육 지원 사업에 대한 공고가 처음 발표되었다. 7월 1일 사업설명회를 거쳐 7월 11일 까지 신청을 받은 뒤...

[사설]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디지털전송방식 논쟁이 마무리된 지 1년이 지났다. 수도권에 이어 광역권이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개시하고 있지만 서울을 비롯한 지방의 디지털 수상기 보급은 지지부진하다. 방송국에서는 주당 20시간의 HD방송을 제작 송출하고 있지만 정작 디지털방송을 시청하는 국민은...

HD제작 현장 기술에 대해 고민하고 교류할 수 있었던 장

  현장기술이라는 세션이 이번 KOBA 컨퍼런스에서 가장 관심을 받았다고 한다. 그 이유는 아마도 직접 현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나와서 자신이 맡고 있는 분야에 대해 어떤 식으로 작업이 진행되는지, 개선되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어려운 점은 무엇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