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용어
홈 기술용어
[방송기술용어] 증강현실 이용한 ‘증강방송’
(방송기술저널=곽재옥) ‘증강방송( A B:A u g m e n t e d Broadcasting, 增强放送)’을 알기 위 해 서 는 ‘ 증 강 현 실 ( A R:Augmented Reality)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증강현실’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미들웨어(Middleware)
미들웨어(Middleware)
미들웨어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하드웨어나 프로토콜, 통신환경 등을 연결하여, 응용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좁은 범위로는 한 기업에 설치된 다양한 하드웨어,...
LED오디오무선통신기술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조명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의 빛을 이용하여 조명뿐만 아니라 오디오 무선 통신도 동시에 할 수 있는 ‘LED 오디오 무선통신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LED 오디오 무선통신 기술’은 LED 조명에 오디오를 연결하면, LED...
[디지털 용어사전] MPEG-4 = H.264?
데이터 시트들을 읽다보면 MPEG-4와 H.264를 지원한다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 두 표준이 사실은 표기 방식이 모호하여 많은 혼동을 불러일으킨다. 확실히 정리해 보자.
MPEG은 ISO(세계표준화기구) 에서 제정하는 표준이고, H.264는 ITU(국제전기통신연합) 에서 제정하는 표준이여서 원래는 따로 진행되고...
DTMF
DTMF
<남태현 SBS 편집위원>
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의 약자로 전자식 교환기의 다이얼 톤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고, 무선에서는 이 DTMF를 사용하여 스퀠치 잡음을 제거하는 코드 스퀠치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타 여러 리모트 콘트롤 용으로 응용되기도...
LED TV
올해들어 출시된 IT제품 가운데 눈에 띄는 것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LED TV를 뽑겠다.
LED TV는 우선 기존 제품과 비교해 성능과 디자인 등에서 월등히 뛰어난 면모를 갖췄다. 엄지손톱 크기의 TV두께는 대표적인 차별화 포인트다. 지금까지 나온 평판...
나노기술
나노기술
나노기술은 원하는 성질을 얻기 위해서 원자/분자의 수준에서 조작하여 원하는 구조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연 graphite 과 탄소나노튜브 carbon nanotute 를 비교해보자.
두 물질은 모두 같은 원소(원자)인 탄소로만 이루어 져있는데...
[디지털 용어사전] Green IT
Green IT
IT에도 그린IT란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올해 들어서 옥수수로 만든 휴대폰 등 여러 분야에 그린IT 제품들이 늘어났다.
그린IT란 IT분야에서 친환경적인 노력을 통칭한다. 친환경적이란 것은 환경에 해가되지 않도록 최소화 시킨다는 것이다. 이제는 자연과 하나가 되어야...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네트워크와 통신네트워크가 합쳐진 지능형 전력망으로 똑똑한의 스마트와 전기, 전력을 뜻하는 그리드가 합쳐진 용어이다.
지능형 전력망이라는 뜻으로 전력회사의 통합제어 센터와 발전소, 송전탑, 전주, 가전제품 등에 설치된 센서가 쌍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며, 최적의 시간에 전력을 주고받음으로써...
OTP (One Time Password)
1. OTP(One Time Password)정의
-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매 세션마다 다른 패스워드를 사용
- 일정시간마다 비밀번호 변경을 통해 스니핑,스푸핑등 해킹기술에 대응하는 기술
2. OTP 개발배경
-사용자 ID와 정적인 비밀번호는 낮은 단계의 보안 수준으로 손쉽게...
모바일 IPTV
모바일IPTV는 아직 명확한 개념이 정의되지 않고 있지만 통상 기존 IPTV 기술에 무선 및 이동성 기술을 확장한 새로운 서비스를 의미한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모바일IPTV에 대해 " 기존 IPTV 개념에 이동성 기능을 추가한 개념으로, 이동 전화나 무선 인터넷 등...
<디지털용어사전>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고대역 디지털 컨텐츠 프로텍션(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는 고화질 컨텐츠의 복제를 막기 위한 보호 수단 중 하나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소스 장치를 통해 재생된 영상 신호가 표시 장치로 전송되는 사이에 이를 가로채 복제하지 못하도록 막는 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