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용어

기술용어

[방송기술용어] PIP 포털 연동 시스템

PIP(Platform in Platform) 포털 연동 시스템은 SMR이 콘텐츠 관리 시스템(contents management system, CMS)을 구축해 자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ontent Delivery Network, CDN)와 콘텐츠 유통을 위임한 콘텐츠 홀더들로부터 영상과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포털에 실시간으로...

[방송기술용어]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HbbTV는 방송과 인터넷을 결합하는 방통 융합 서비스 표준으로, 인터넷 커넥티드 TV를 위한 웹 기술 기반의 범유럽 표준이다. 회원사는 2014년 9월 기준 총 74개사로, 주로 가전사, 셋톱박스 제조사, 방송사가 주축이며 브라우저 개발사인 오페라, 방송...

[방송기술용어] HDR(High Dynamic Range)

초고화질(UHD) 방송을 이야기할 때 많이 언급되는 HDR(High Dynamic Range)은 디스플레이의 최대 밝기를 5,000~10,000으로 확장해 명암비 10만:1 이상의 화면을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영상의 밝고 어두운 모든 부분에서 충실한 디테일을 표현할 수 있다. 본래 HDR은...

[방송기술용어] MAM(Media Asset Manger)

MAM은 편집용 소재를 쉽게 검색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이다. 이 검색 기능을 활용하는 방식은 분야별로 상이하다. 속도가 생명인 뉴스 제작 시에는 외신을 포함해 하루에도 끊임없이 들어오는 수백 개 소재들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방송기술용어]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인터넷상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정보를 보낸다는 신호나 받는다는 신호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수신자와 아무런 접속 절차를 거치지 않는 서비스를 ‘무관계 서비스’라 일컫는데,...

[방송기술용어] DRM+

DRM+는 유럽에서 개발한 초단파 디지털 라디오 기술이다. 디지털 라디오란 기존의 FM/AM 라디오를 디지털 신호로 전송하는 것으로 보다 깨끗한 음질과 교통ㆍ날씨정보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난 1995년 유럽에서는 국내 지상파 DMB 기술과...

[방송기술용어]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방송기술저널=강민정) 전자파 방해를 일컫는 단어로 디지털 신호의 속도가 높아지면서 EMI로 인한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사전적으로는 전기장비나 전자장비 혹은 그 설비로부터 복사되는 전자파에 의해 다른 장비나 시설의 기능 또는 통신이 방해를 받는 것을 말한다. 발전‧변전‧송전...

[방송기술용어] OTT

OTT는 ‘Over The Top’의 줄임말로, 개방된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Top’는 IPTV나 위성방송의 셋톱박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초기에 OTT는 TV와 연결해 이용하는 셋톱박스 형태와 관련 서비스를 뜻했으나 현재는 PC·스마트폰·태블릿PC...

[방송기술용어] 증강현실 이용한 ‘증강방송’

(방송기술저널=곽재옥) ‘증강방송( A B:A u g m e n t e d Broadcasting, 增强放送)’을 알기 위 해 서 는 ‘ 증 강 현 실 ( A R:Augmented Reality)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증강현실’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미들웨어(Middleware)

미들웨어(Middleware)    미들웨어란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다른 기종의 하드웨어나 프로토콜, 통신환경 등을 연결하여, 응용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원만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좁은 범위로는 한 기업에 설치된 다양한 하드웨어,...

LED오디오무선통신기술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조명용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LED(Light Emitting Diode)의 빛을 이용하여 조명뿐만 아니라 오디오 무선 통신도 동시에 할 수 있는 ‘LED 오디오 무선통신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LED 오디오 무선통신 기술’은 LED 조명에 오디오를 연결하면, LED...

[디지털 용어사전] MPEG-4 = H.264?

  데이터 시트들을 읽다보면 MPEG-4와 H.264를 지원한다는 표현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 두 표준이 사실은 표기 방식이 모호하여 많은 혼동을 불러일으킨다. 확실히 정리해 보자. MPEG은 ISO(세계표준화기구) 에서 제정하는 표준이고, H.264는 ITU(국제전기통신연합) 에서 제정하는 표준이여서 원래는 따로 진행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