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사설] 이런 식의 국정감사가 국민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국회의 국정감사는 국정운영 전반에 관하여 그 실태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입법 활동과 예산 심사를 위해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획득하며, 나아가 국정에 대한 감시·비판을 통하여 잘못된 부분을 적발·시정함으로써 헌법이 국회에 부여한 대표적 기능인 입법...

[사설] 직업의 변화와 미디어 엔지니어

직업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롭게 탄생하기도 하고 소멸하기도 한다. 탄생과 소멸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분화되기도 한다. 직업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하다. 산업과 시장의 축소 및 팽창, 대체 기술의 수준, 비용 대비 효과, 사회적...

[사설] 콘텐츠 경쟁을 바라보며 드는 공상(空想)

최근 OTT 가입자가 감소 추세라는 기사가 가끔 나오기는 하지만, 전통적인 방송 매체보다 OTT를 통해 콘텐츠를 소비하는 시청자의 수가 많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해 정해진 시간에 같은 공간에...

[사설] 청년 KOBA, 방송을 넘어 다시 한번 도약하자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가 주최하는 방송기기, 방송장비전시회 및 세미나는 1990년대 도래할 뉴미디어 시대의 실현에 대비한 방송기술분야의 인력양성과 정보를 통한 방송문화의 향상, 첨단산업 발전에의 기여 등에 그 뜻을 두고 있습니다. ...(중략)... 이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합회는 새로운...

[사설] 국회 ‘개점휴업’, 누구의 책임인가

국회 상임위원회는 행정부 각 부처 소관에 따라 국회 내에서 구성하여 소관 부처 안건을 미리 심사한다. 의안을 제출하고 청원 등을 접수하면 해당 상임위에 회부하여 심사하거나, 그 소관에 속하는 사항에 관하여 법률안을 스스로 입안하여 제출하는...

[사설] 다양성, 함께 나아가기 위한 발걸음

장난감 제조업체인 미국의 마텔사가 포용성 및 다양성 확대를 위한 노력의 하나로 보청기를 착용한 바비, 의족을 착용한 바비, 휠체어를 타는 바비 인형 등을 올해 6월 출시한다고 한다. 1959년 처음 출시된 바비 인형은 비현실적인 신체...

[사설] 방송을 바라보는 정치권 vs. 정치권에 기대하는 방송 정책

언론은 어떤 사실을 사람들에게 알림으로 여론을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중요한 사안이라도 언론이 대수롭지 않게 취급하면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되고, 많은 사람의 관심사가 아닌 사항도 언론에서 다루는 방식에 따라 주요 관심사로 바뀌면서...

[사설] 통합과 협치는 미디어 정책부터

차기 정부의 성공을 좌우할 밑그림을 그리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남녀갈등의 중심에 선 여성가족부 해체,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에 관한 논쟁 등 현 정부와의 기 싸움만 무성하고 시급한 국정과제 논의는 뒷전인듯하다. 인수위가 가장...

[사설] 변화한 미디어 방송 환경에 맞는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

더욱 가속한 방송 생태계의 변화 속에서, 오래전부터 제기되었던 지상파방송을 포함한 미디어산업 전반에 대한 개혁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거대 자본을 바탕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며 미디어 생태계에서 영향력을 넓히고 있는 다양한 미디어들 속에서,...

[사설] 2022년을 ATSC 3.0 부가서비스 활성화 원년의 해로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달 23일 올해 주요 업무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①지속성장 가능한 방송통신 생태계 조성, ②미디어융합시대 적합한 규제 정립 및 서비스 제공, ③방송통신 이용자 권익 증진을 추진 과제로 삼았다. 세부 내용을 보면 ‘규제 체계...

[사설] 메타버스 시대, 방송현업인 재교육이 시급하다

구글, 애플, 아마존, 페이스북 등 플랫폼 기업들이 세계 10위 기업을 휩쓸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에 기업의 사활을 걸고 있다. 암호화폐, 블록체인, NFT, 메타버스로 이어지는 디지털 세계는 이미 세계 경제와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사설] 언론중재법 강행 처리를 당장 멈춰라

 8월 국회 본회의 상정을 목표로 더불어민주당이 밀어붙였던 언론중재법은 야당의 반대와 불리해진 여론에 밀려, 여야 합의로 8인 체제를 구성해 논의하고 9월 27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실효적 피해 구제와 언론·표현의 자유 사이에서 언론과 정치권에 많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