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홈 사설
[사설] 넷플릭스 파장?
이달 초 미국 라스베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쇼 CES에서 미국의 동영상 서비스 사업자인 넷플릭스가 세계적으로 사업을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지난 1월 7일 한국에 서비스를 시작한 넷플릭스는 싱가폴, 터키, 인도네시아 등 세계지역으로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CEO인...
[사설] UHD 관련 교육 예산 확보돼야
다사다난했던 2015년 을미년이 저물고 붉은 원숭이 띠, 병신년의 새해가 밝았다. 제31회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등 올 한 해 굵직한 이벤트들이 있지만 그 무엇보다 관심을 끄는 것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에 따른 플랫폼계의 지각 변동, 넷플릭스의...
[사설] 방송기술저널이 돌아보는 2015년…암울한 지상파에 관심과 애정을
다사다난 했던 2015년 을미년이 저물고 있다. 지난 한해를 돌아보면 사회적인 큰 이슈로는 메르스 사태, 국정화 교과서 논란, 파리 테러 사태, 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 등이 굵직한 사건들이 있었다.
방송계로 그 범위를 좁혀 본다면 가장...
[사설] 플랫폼 전쟁 시작…규제의 철학 필요하다
SK텔레콤이 지난달 2일 이사회 결정에서 CJ헬로비전을 인수하겠다고 하자 다른 통신사들뿐 아니라 방송, 언론 학계까지 떠들썩하다. 이는 분명 자본 사회에서 단순 합병의 의미를 넘어선 산업적 파괴력뿐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영향력이 지대함을 방증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사설] 재송신 분쟁은 사업자 간 자율 협상으로 해결해야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11월 18일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그동안 논의돼 왔던 방송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다행히 직권조정 및 재정 제도 조항은 삭제됐지만 방송유지재개명령권은 그대로 있어 정부가 개입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번 방송법 개정안은 방송 사업자 간...
[사설]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28주년을 축하하며
오는 11월 14일은 한국기술인연합회가 탄생 된지 28주년이 되는 날이다. 연합회는 1987년 삼엄한 5공의 군사정권 때 방송기술인의 단결과 위상을 높이고 방송 민주화에 기치를 드높이기 위해 많은 선배 기술인들의 희생과 고난 위에 탄생됐다.
1990년 방송을 장악하는...
[사설] KBS 사장 선임의 문제점
KBS 이사회가 10월 26일 KBS 신임 사장 후보로 고대영 KBS비즈니스 사장을 선임했다. KBS 7대 협회에서는 “(고 후보자는) 사장 자격이 없다”며 투쟁을 예고했고, 양대 노조 역시 총파업을 예고하며 반발하고 있다. 언론시민사회단체나 정치권에서도 ‘청와대 낙하산...
[사설] KBS 사장 선임에 부쳐
7일부터 KBS 사장 공모가 시작됐다. 이번 사장은 보도 개입으로 물러난 길환영 사장 이후 박근혜 정부가 보궐이 아닌 정식으로 임명하는 첫 사장이며, 지난해 방송법 개정으로 처음 인사청문회를 거치는 사장이라 주목된다. 이인호 이사장을 중심으로 여당...
[사설] UHD 활성화를 위한 정책 수립과 지상파 규제 완화를 기대한다
700MHz 대역 주파수 분배 방안이 확정됨에 따라 지상파 초고화질(UHD) 방송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를 주축으로 지상파 UHD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전담반도 구성되고 정부기관인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도 올해 안으로...
[사설] 정부의 종편 사랑은 언제까지 인가?
방송통신위원회가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방송통신발전기금 징수를 올 한 해 유예키로 결정했다. 최근 의결된 ‘방송통신발전기금 분담금 징수 및 부과 등에 관한 고시 전부 개정안’에 따르면 종편과 보도전문채널은 내년부터 0.5%의 방발기금을 내게 된다. 출범 당시 갓난아기에...
[사설] 재송신 협의에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상파와 유료방송간 재송신료(CPS)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지상파 재송신 협의체를 발족하고 8월 11일 1차 회의를 개최했다. 그러나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해 당사자인 자신들이 참여하지 않은 재송신 협의체는 편파적일 수밖에 없다며 협의체 구성을 원점에서...
[사설] DMB 방송의 재발견
2005년 12월에 지상파 DMB 방송이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실시됐다. ‘손 안의 TV’로 불리며 등장한 DMB는 이동 중에 TV, 동영상, 라디오, 문자 방송 수신이 가능토록 만든 순수 국내 기술로 다양한 산업적 파급효과는 물론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