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기고] 자주 하는 질문 9가지로 파헤치는 UHD 혁신서비스 ①

<본 글은 KBS방송기술인협회보 vol.100에 실린 원고입니다.> Q) 혁신서비스 시범방송의 개요와 큰 특징은 무엇인가? A) 2017년 5월, 우리나라에서는 ATSC 3.0 표준을 기반으로 지상파 UHD 본방송을 시작하였다. 즉, 시범방송 이전까지는 RF 전송률 17Mbps 수준의 `9-1 KBS1 UHD...

[기고] 아동보호를 위한 유튜브 자율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9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너튜브라서 간단하지만은 않은 아동보호에 대한 문제 유튜브 고객센터에 적시된 내용을 보면 아동용 유튜브 동영상인지 구분하기 위한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동영상의 주제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지, 시청자가 아동일 수 있는지,...

[기고] NHK 기술연구소의 미래비전 2030-2040 ④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전시 주제 3. 최첨단 미래 과학기술 사과를 보자. 빛이 없어지면 사과는 보이지 않는다. 다시 불을 켜면 빨갛게 사과가 보인다. 빛이 반사되어 우리 눈에 보이게 되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기고] NHK 기술연구소의 미래비전 2030-2040 ③ ...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전시 주제 2. 언제 어디서나 즐기는 서비스 (Universal Service) 가족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모바일 기기를 통한 미디어 감상이 늘어나면서 가족이 함께 TV를 보는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원래 TV는 보다...

[기고] 김 대리와 아바타의 메타버스 세계

김 대리는 아침 일찍 일어나 하루의 일과를 체크하고, 종일 무척 바쁠 것 같다는 생각에 컴퓨터를 켜서 자신의 모습을 닮은 아바타를 불러냈다. 그러고는 아바타에게 자신의 일과 중 상당 부분을 일러주고 직장으로 출근길에 올랐다. 얼마...

[기고] NHK 기술연구소의 미래비전 2030-2040 ② ...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전시 주제 1. 사람과 사람을 잇는 몰입 미디어(Immersive Media) AR과 VR로 대표되는 실감미디어 즉 몰입형 미디어는 사람을 이어주는 특별한 기술이다. 거실에서 운동을 하려고 준비를 한다. AR 글래스를 쓰고 TV를...

[기고] NHK 기술연구소의 미래비전 2030-2040 ① ...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코로나19로 많은 방송 관련 전시회와 시연 행사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NHK 기술연구소가 매년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최하던 오픈하우스 전시회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2020년의 행사는 취소되었고,...

[기고] KBS UHD 모바일 다채널 시범방송 계획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7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UHD 방송 활성화 정책방안 발표 지난 2018년 지상파 방송사는 수도권 UHD 방송을 서비스 하는데 그치지 않고,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강릉 일대에서 UHD 모바일 실험방송을 실시했다. 이후에도 UHD 방송의...

[기고] 디지털 라디오에 거는 역할과 기대

◇ 디지털 라디오방송에 거는 기대 미래에는 부산에서 출발해 모스크바로 가는 오리엔트특급 대륙횡단열차 내에서 국내 지상파 디지털 AM 방송과 위성을 통해 중계되는 우리의 디지털 FM 방송을 들으며 행복한 여행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도 해볼...

[기고] 8K 예능 프로그램을 어떻게 만들까? – SBS ‘가이드는 외국인’ 제작기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5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가이드는 외국인’은 2021년 설 특집 프로그램으로 2부작으로 방송되었습니다. 한국전파진흥협회로부터 제작 지원을 받아 8K 콘텐츠로 제작했으며 지상파 4K로 송출하였습니다. 본 프로그램은 유튜브 채널 ‘SBS ENTER PLAY’에서 최대 8K...

[기고] ‘Untect/Ontect 시대’, 변해야 하는 방송

◇ Untact/Ontact 시대 ‘Untact/Ontact’라는 신조어를 ‘비대면 접촉/온라인 접촉’이라고 이해하면서 2020년 코로나19 확산 이후 인류가 어이없이 맞이한 사회적 격리 시대의 소통 방법의 표현으로 우리는 이미 새로운 용어에 익숙해져 있다. 방송과 매스미디어 그리고 통신의 목적이 애초부터 Untact(비대면) 전달이...

[기고] 지상파방송은 무엇을 융합해야 하나?

◊디지털TV는 무선 기기인가? 유선 기기인가? “현재의 디지털TV는 무선 기기인가, 유선 기기인가?” 정의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고자 한다. 지상파방송은 태생부터 분명 무선을 이용하는 매체인데, 현재 디지털TV는 전혀 디지털 무선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는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