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CJ헬로비전 인수를 둘러싼 업계 공방 가열

SK텔레콤-CJ헬로비전 인수를 둘러싼 업계 공방 가열

1164

24307_34547_4022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인수‧합병 신청서를 정부에 제출한 데 이어 인수‧합병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미래 청사진을 발표하는 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KT와 LG유플러스도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가 부당하다는 논리로 반박하고 있어 인수‧합병을 둘러싼 이동통신 3사의 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SK텔레콤은 12월 2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을지로 소재 SK텔레콤 본사 사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CJ헬로비전 인수 및 SK브로드밴드와의 합병을 통한 기대 효과 등에 대해 발표했다.

이형희 SK텔레콤 MNO총괄(부사장)은 “새롭게 출범하는 합병법인은 글로벌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로 도약해 문화‧콘텐츠 산업을 진흥하고, 투자 활성화 및 생태계 발전을 선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의 편익을 증대하고 국가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번 인수‧합병이 글로벌 무한 경쟁에 대응하기 위한 방책이라고 설명했다. 국내 통신 미디어 산업이 가입자 유치 위주의 양적 경쟁에서 벗어나 서비스 중심의 질적 경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상황 인식을 반영했다는 것이다.

이에 SK텔레콤은 ‘융합(融合)’, ‘혁신(革新)’, ‘공생(共生)’을 합병법인의 핵심 가치로 삼고, △통신·미디어의 ‘융합’을 통한 국내 미디어 산업의 신성장동력 강화 △융복합 미디어 플랫폼 기반의 혁신 서비스 제공 △미디어 생태계와의 공생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 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SK텔레콤은 CJ헬로비전 인수‧합병 시 합병 법인에 5년 간 5조 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전환, 초고화질(UHD) 확대 등 케이블 망 고도화 △쌍방향 지능형 네트워크 구현 △콘텐츠 산업 및 스타트업 지원 등 미디어 생태계 육성에 투자해 이를 통해 약 7조5,000억 원의 생산 유발 및 4만8,000여 명의 고용 유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고 SK텔레콤은 밝혔다.

특히 이종봉 SK텔레콤 네트워크 부문장은 “2017년까지 케이블 TV의 UHD TV 서비스를 위해 기가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90%까지 확대하고, 2020년까지 케이블 TV의 디지털 전환율을 90% 이상으로 끌어 올리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합병 법인은 문화·콘텐츠 산업 진흥을 위한 투자를 확대해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및 VOD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유망 콘텐츠를 적극 발굴·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 총괄은 “이번 인수‧합병을 통해 글로벌 무한 경쟁을 이겨낼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와 기술력을 갖추고, 적극적인 투자와 협력으로 국내 미디어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며 “이를 통해 소비자 혜택을 강화하는 한편 우리나라가 콘텐츠 강국 및 문화 부국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SK텔레콤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이 이뤄지면 유료방송 시장이 대기업 과점 구조로 재편돼 방송 산업이 지녀야 할 공익성이나 다양성 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업계와 학계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최종 승인까지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KT와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이 기자간담회를 진행하자 바로 반박자료를 내놓으며 “SK텔레콤의 주장은 그동안 각계에서 제기한 우려사항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글로벌 경쟁력’을 핑계로 케이블 공짜 번들 상품, 시장 독점 등 지금까지 묵혀왔던 숙제를 하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SK텔레콤이 전면에 내세운 5년 간 5조 원은 기존 투자액을 단순 합산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새로운 내용이 아니고, SK텔레콤이 주장하는 생산 및 고용 유발 효과 역시 근거 없는 주장에 불과하다”면서 “일반적으로 통신사들은 통신 설비 문제로 1년에 3~4조 원을 투자하고 있는 상태”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을 인수하면 무선통신의 지배력이 유료방송으로 전이되고, 케이블이나 인터넷TV(IPTV)의 고유 영역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는 있지만 현재 정부의 정책 방향 자체가 산업 육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승인까지는 무난히 이어질 것”이라며 “다만 결합 상품 등 공정 경쟁을 해칠 수 있는 부분을 정부가 어떤 방향으로 제한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는 방송통신위원회와 협력해 이번 인수·합병이 공정 경쟁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 미칠 영향을 평가하고, 공정거래위원회는 해외 사례를 참조해 공정 경쟁 제한 여부를 중점적으로 평가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