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오피니언

[칼럼] 방송 광고 규제 완화 정책의 문제점

방송광고 총량제와 중간광고 논의에 이어 최근 방송광고 정책에 대한 이슈가 또다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방통위가 2015년 7월과 8월 각각 제안한 ‘가상광고 세부기준 등에 관한 고시 제정안’과 ‘협찬고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이 그것이다. 지난주만...

[사설] 정부의 종편 사랑은 언제까지 인가?

방송통신위원회가 종합편성채널에 대한 방송통신발전기금 징수를 올 한 해 유예키로 결정했다. 최근 의결된 ‘방송통신발전기금 분담금 징수 및 부과 등에 관한 고시 전부 개정안’에 따르면 종편과 보도전문채널은 내년부터 0.5%의 방발기금을 내게 된다. 출범 당시 갓난아기에...

[칼럼] 지상파 부가 방송 서비스:그 고된 여정

2002년은 지상파TV의 최고 전성기였다. 한일월드컵이 있었고, 얼마 전 회자됐던 동명 영화의 소재인 연평해전이 있던 해였다. 지상파TV는 광고매출이 최대치에 달했고, 콘텐츠 경쟁력은 하늘을 찌르던 해였다. 그때를 정점으로 매출 면에서 하향곡선을 걷고 있는 지상파를 오아시스로...

[사설] 재송신 협의에 정부의 과도한 개입은 바람직하지 않다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지상파와 유료방송간 재송신료(CPS) 갈등을 조정하기 위한 지상파 재송신 협의체를 발족하고 8월 11일 1차 회의를 개최했다. 그러나 지상파 방송사들은 이해 당사자인 자신들이 참여하지 않은 재송신 협의체는 편파적일 수밖에 없다며 협의체 구성을 원점에서...

[기고] 방송 콘텐츠의 가치 정상화와 바람직한 재송신 질서

1. 들어가며 일단락된 것처럼 보였던 지상파 재송신 대가의 갈등은 케이블 방송사업자에 의해 2012년 이후 재송신 제도 전반에 대한 정책적 재검토가 요구되면서 새로운 논란이 재개됐다. 제1라운드의 갈등은 과연 지상파 방송을 동시 재송신하는 것에 대해서 지상파...

[사설] DMB 방송의 재발견

2005년 12월에 지상파 DMB 방송이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에서 실시됐다. ‘손 안의 TV’로 불리며 등장한 DMB는 이동 중에 TV, 동영상, 라디오, 문자 방송 수신이 가능토록 만든 순수 국내 기술로 다양한 산업적 파급효과는 물론 기술...

[칼럼] 구글과 EU,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

구글은 글로벌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에서 88.8%를 기록할 만큼 시장 지배적 사업자다. 유럽 주요 국가에서도 높은 검색엔진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유럽 시장에서 가장 뚜렷한 구글의 시장 지배적 지위는 스마트 플랫폼 OS의 점유율에서 나타난다. 2014년...

[기고] 책과 함께 떠나는 여름휴가

이 책 가지고 휴가가자! 휴가철 추천도서 10권

[참관기] Sound Reinforcement, Mind Reinforcement

2015년 5월 어느 날 한통의 메일을 받았다. 지상파방송기술인을 대상으로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교육하는 ‘글로벌오디오전문가 양성과정’ 교육생을 뽑는다는 내용이었다. 59회 AES(Audio Engineering Society) 컨퍼런스 참여와 사전 투어 등이 곁들여진 이 해외교육은 방송 산업에 필요한 정보를...

[기고] 7년 연속 파워블로거 ‘토마스모어의 영화방’ 이규웅이 추천하는 휴가철 즐길만한 영화들

무더운 여름 휴가철, 더위를 피해서 바닷가로 휴양지로 달려가는 사람들이 유난히 많은 계절. 더위를 피하는 방법 중 하나로 영화관에서 시원한 스크린을 통해서 펼쳐지는 호쾌한 영화를 감상하거나 시원한 실내에서 지나간 영화를 감상하며 추억에 젖는 것도...

[사설] 지상파 UHD 방송의 활성화를 기대하며

이해 관계자의 끊임없는 논쟁거리가 됐던 700MHz 대역 주파수의 분배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주파수정책소위원회 주도로 일단락됐다. 지난해 국가재난안전통신망(재난망)에 20MHz 폭을 할당한 데 이어 올해 8월 국무조정실 산하 주파수심의위원회를 통해 이동통신에 40MHz 폭, 방송에 30MHz...

[칼럼] Startup Biz에 대한 지극히 주관적인 시각

현 정부 들어서면서 최대의 키워드는 ‘창조 경제’였다. 그래서 미래부 제2 차관도 창조경제를 혁파했던 분이 임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대부분 ‘창조 경제’의 실체가 모호하고 성과가 잘 나오지 않게 되자 ‘참조 경제’로 바뀌었다고들 말한다.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