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오피니언

[성명서] 언론 재갈 물리는 희대의 악법 철회해야 ...

언론 재갈 물리는 희대의 악법 철회해야 시대를 거슬러 가는 ‘표현의 자유’ 더불어민주당이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언론중재법 개정안 처리를 밀어붙이고 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문화예술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고 단독 처리한데 이어 이번에는 문체위 전체회의 표결 처리를 시도하려다 국민의힘이...

[기고] NHK 기술연구소의 미래비전 2030-2040 ② ...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전시 주제 1. 사람과 사람을 잇는 몰입 미디어(Immersive Media) AR과 VR로 대표되는 실감미디어 즉 몰입형 미디어는 사람을 이어주는 특별한 기술이다. 거실에서 운동을 하려고 준비를 한다. AR 글래스를 쓰고 TV를...

[기고] NHK 기술연구소의 미래비전 2030-2040 ① ...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코로나19로 많은 방송 관련 전시회와 시연 행사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NHK 기술연구소가 매년 일반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최하던 오픈하우스 전시회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2020년의 행사는 취소되었고,...

[사설] 재난방송 개선, 재난경보 기술 정책 없이 표류

대형 재난이 발생하면 재난방송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종종 도마 위에 오른다. 늦장 재난방송이 지적된 적은 한두 번이 아니다. 2016년 경주 지진이 발생했을 때 지진경보 자막 송출 시스템은 지진 발생 뒤 약 18분이나 늦게 자막을...

[칼럼] 라이브 커머스, 방송인가 통신인가?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비대면 쇼핑이 증가하면서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라이브 커머스는 실시간 동영상 스트리밍을 통해 상품을 소개하고 판매하는 형태를 말한다.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커머스(Commerce)이다. 미디어 기반의 커머스가 모바일 시대에 맞게 진화한...

[기고] KBS UHD 모바일 다채널 시범방송 계획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7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UHD 방송 활성화 정책방안 발표 지난 2018년 지상파 방송사는 수도권 UHD 방송을 서비스 하는데 그치지 않고,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강릉 일대에서 UHD 모바일 실험방송을 실시했다. 이후에도 UHD 방송의...

[성명서]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마지막 기회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마지막 기회” 언론노조의 항의농성을 지지하며 전국언론노동조합(이하 언론노조)과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이 공영방송 지배구조 정상화를 위해 다시 한번 손을 잡았다.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는 언론노조의 항의농성을 지지하며, 그동안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정상화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을 여러 차례 해놓고도 계속...

[칼럼] 메타버스 타고 달리는 기업들

스티브 잡스가 연 ‘앱 스토어’라는 새로운 장터는 모바일 세상을 열고, 소셜 미디어 시대를 앞당겼다. 애플리케이션 생태계는 소셜 플랫폼이라는 놀이터에서 온라인 만남이라는 재미를 선물해 주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라는 위기 상황은 온라인 문화 패턴으로 자리...

[기고] 디지털 라디오에 거는 역할과 기대

◇ 디지털 라디오방송에 거는 기대 미래에는 부산에서 출발해 모스크바로 가는 오리엔트특급 대륙횡단열차 내에서 국내 지상파 디지털 AM 방송과 위성을 통해 중계되는 우리의 디지털 FM 방송을 들으며 행복한 여행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도 해볼...

[칼럼] 자율주행 시대, 방송 미디어가 준비할 일

인간 생활의 편리함을 향한 기술 발전은 언제나 우리의 예상보다 저만큼 앞서간다. 5G 통신환경과 전기자동차, 센서 및 인공지능 기술의 등장으로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기고 있다. 2018년 12월 5일, 알파벳의 자율주행 사업부 웨이모가 웨이모 원(Waymo One)이라는...

[사설] 인공지능의 윤리적 문제

인공지능(AI)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으로 전 분야에 걸쳐 활용되며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과거 자본가들이 토지와 석유로 부를 축적했다면 21세기에는 데이터가 최고의 자본으로 떠오르고 있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은 무료 서비스나 게임을 제공하고 사용자들의 개인정보를...

[기고] 8K 예능 프로그램을 어떻게 만들까? – SBS ‘가이드는 외국인’ 제작기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5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가이드는 외국인’은 2021년 설 특집 프로그램으로 2부작으로 방송되었습니다. 한국전파진흥협회로부터 제작 지원을 받아 8K 콘텐츠로 제작했으며 지상파 4K로 송출하였습니다. 본 프로그램은 유튜브 채널 ‘SBS ENTER PLAY’에서 최대 8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