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뉴스 이대로 안된다

포털 뉴스 이대로 안된다

695

김 철 관(언론개혁시민연대 운영위원)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 등 매체간의 융합이 가속화 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미디어 모델이 탄생하고 있다. 지상파DMB, 위성DMB가 본격적 활동을 개시했고, 통신사업자들에 의해 방송통신 융합의 전형인 IP-TV가 출범을 앞두고 있다.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이 방송과 인터넷, 전화 등을 이용한 트리플 서비스도 곧 상용화 될 전망이다. 통신망을 사용한 휴대폰과 무선랜의 중간영역의 서비스인 와이브로 등장도 심상치 않다.

뉴미디어 환경 속에서 더욱 주목해야 할 점은 인터넷 포털의 위력이다. 사이트 순위를 매기는 랭키닷컴은 현재 전체 인터넷 사이트 중 상위 순위로‘인터넷 포털’을 꼽고 있고 이렇게 상종가를 올리고 있는 포털은 과거 어느 매체보다 여론의 향방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포털사이트 선두주자인‘다음’은 기존 중앙언론사를 비롯해 40여개 뉴스공급원에서 평균 4천여개의 뉴스콘텐츠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중 2백에서 2백 50개가 게재된다.

운동장 대여사업격인 관문의 역할을 부여받았던 포털이 이제 뉴스공급원(신문사, 방송사 등)으로부터 헐값에 콘텐츠를 구입, 뉴스 의제설정을 하는 등의 저널리즘 기능까지 담당하고 있다. 포털의 여론 지배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여기에다 포털뉴스를 이용한 네티즌이 신문 사이트를 이용한 네티즌보다 8배 이상 이용하고 있고, 대학 재학이상 고학력자의 포털사이트 이용이 90%를 넘는다는 지난 3월 한 인터넷 뉴스사이트의 조사결과가 이를 증명한다.

이런 가운데 포털사이트 책임에 대한 선악의 논란도 최근 끊이지 않고 있다. 언론의 기능인 편집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저널리즘 기능을 부여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주장과 언론행위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저널리즘 기능을 부여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최근 X파일 도청사건 뉴스 의제설정에 있어 포털 3사(다음, 네이버, 네이트) 뉴스가 보수언론의 보도내용을 그대로 옮겨 도청 내용의 본질보다 도청자체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비판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지난 7월 민언련이 주최한 ‘포털저널리즘 어떻게 할 것인가’토론회에서도 포털의 기사 및 사진 제목 수정도 심각한 문제로 지적됐다. 이날 포털 메인화면에 게재된 지나친 오락 중심의 연성화 뉴스 편집도 집중 거론됐다. 특히 문제는 포털이 행사하는 뉴스 선택 및 배치, 제목 달기 등 편집권을 이용해 시장지향성을 노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데 심각성이 더하다.

상업적 인물정보 서비스에 대한 인권침해 논란도 가속화 되고 있다. 가짜기사 유포에 대한 포털의 책임론도 등장하고 있다.

포털의 문제점을 1차적으로 책임을 져야할 곳은 기성매체이다. 새로운 저널리즘의 환경변화 따른 포털 영향력에 대한 무관심과 무대책으로 일관한 기성매체의 책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제 포털도 자정노력을 해야 한다. 특히 사실상 의제설정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포털 뉴스 편집자의 역할과 지위에 대한 책임을 물을 방도를 찾아야 한다. 특히 포털의 저널리즘 개념화, 저작권, 소비자운동, 법제화 등의 법적, 제도적 문제에 이용자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국민 여론 향방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포털사이트에 대한 이용자들의 문제의식과 비판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할 때다. 이용자들의 철저한 감시와 감독이 필요할 시점이라는 시청자운동단체들의 목소리를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