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가짜뉴스, 전 국민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로 막는다” ...

정부 “가짜뉴스, 전 국민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로 막는다”
방통위·문체부 등 5개 부처,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 발표

569

[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전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에 정부가 발 벗고 나선다.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8월 27일 발표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이 전면화되리라 예측하면서 비대면 방식은 디지털 경제 활성화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허위정보 확산, 사이버 폭력 등의 역기능도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부는 디지털 미디어 발전의 결과물을 다 함께 누리고, 나이와 계층, 지역으로 인해 디지털 사회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디지털 미디어 이용 및 제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계획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 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하는 한편, 누구도 미디어 교육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며 강력한 추진 의지를 표명했다.

이번 계획은 ‘소통과 배려의 새로운 디지털 공동체 실현’을 목표로 △온·오프라인 미디어 교육 인프라 확대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 강화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배려·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을 4대 전략과제로 12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제공 : 방송통신위원회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온·오프라인 미디어 교육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미디어 교육 거점 시설을 전국으로 확대 구축하고 누구나 쉽게 미디어를 제작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시설과 장비를 무상 지원한다.

또한, 미디어교육원을 교원연수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고, 학교미디어교육센터를 신설하는 등 코로나19 이후 원격수업이 본격화된 교육 현장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또, 온라인 미디어 교육 플랫폼을 통해 그간 개별적으로 관리되던 미디어 교육 관련 정보를 한곳에 모아 공유·개방한다.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시행한다. 이와 함께, 자유학기제·고교학점제 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미디어 교육을 확대하고, 장애인·다문화 가정·학교 밖 청소년까지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다.

농·산·어촌 등 상대적으로 교육 혜택을 누리기 어려운 지역·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교육을 확대하고, 누구나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1인 미디어 창작자 양성 교육을 시행한다.

제공 : 방송통신위원회

또한,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습득·활용할 수 있도록 팩트체크 시민교육을 확대하고, 언론·사회·경제 등 분야별 전문가가 전문 팩트체커로 활동할 수 있도록 심화 교육도 시행한다.

아울러, 검증 대상 제시 및 팩트체킹 과정 등에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팩트체크 오픈 플랫폼을 구축·운영해 팩트체크 활성화를 지원하며, SNS·유튜브 등 인터넷 서비스의 추천 원리(알고리즘)에 대한 이해 교육으로 디지털 콘텐츠 활용 능력을 제고한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시민성의 제고를 위해 디지털 공간에서의 정체성 확립, 소통과 사회 참여 등을 위한 윤리교육을 강화하고, 사이버 폭력, 혐오 표현 등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과 올바른 미디어 기기(스마트폰) 사용 교육도 시행한다.

공동체 라디오 확산과 지역 공동체의 미디어 참여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활성화해 비대면 시대에 느슨해지기 쉬운 사회적 결속을 다질 수 있도록 하면서, 나아가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측정을 통해 전 국민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 방향을 수립한다.

정부는 이번 종합계획을 시작으로 “비대면 사회에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가 확대되는 과정에서 소외되는 사람 없이, 디지털 미디어를 매개로 국민이 더 행복해지는 건강한 디지털 공동체를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