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가 변수, SO-PP ‘불편’

FTA가 변수, SO-PP ‘불편’

473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 : multiple system operator)와 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MPP : multiple program provider)의 결합체인 MSP(Multiple System Program Operator)의 가속화가 FTA(자유무역협정)를 통한 외국 자본의 국내 PP 시장 잠식에 대응하는 방패가 될 것인가. 최근 MSO인 현대 HCN이 지난해 채널 2개를 늘린데 이어 올해에도 3개 이상의 채널을 늘리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가운데 SO와 PP의 미묘한 영역 다툼이 눈길을 끌고 있다.

   
 

내년에는 국내 방송시장이 FTA를 통해 외국에 개방된다. 외국의 막강한 콘텐츠 사업자들이 국내에 직접 PP를 설립할 길이 열리는 것이다. 이에 대비해 국내 MSO 사이에서는 PP를 공격적으로 인수해 몸집을 불리는 전략이 각광받고 있다. 콘텐츠와 플랫폼을 결합해 외국 PP의 공세를 효과적으로 막아내겠다는 뜻이다. 국내 케이블 산업의 특성상 PP보다는 SO를 중심으로 이러한 전략이 추진되고 있으며, 이미 MSP 강자인 CJ E&M은 유료채널까지 18개, 티캐스트가 10개, CU미디어 6개, CMB 4개를 보유하고 있다. 플랫폼 사업자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PP를 인수하는 형식이다.

하지만 SO를 중심으로 하는 MSP 현상의 가속화는 FTA 발효 이후 외국 PP의 공세를 걱정하기 전, 국내 케이블 시장의 다양성을 해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다. MSP의 경우 막강한 모 기업의 자본력으로 단시간에 흑자를 낼 수 있지만, 인수대상이 아닌 개별 PP의 경쟁력을 심각하게 훼손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게다가 MSP가 늘어나면 개별 PP의 의무채널 대상도 줄어들게 된다. PP의 불만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현재 정부는 방송산업발전 종합계획을 통해 SO와 PP의 균형적인 발전을 천명하고 나섰다. 또 케이블 업체도 자체적으로 상생 협의체를 가동해 수신료 배분을 둘러싼 대승적인 결론을 도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MSP 현상의 가속화가 케이블의 다양성을 훼손시키고 개별 PP의 가능성을 부정할 가능성은 상당한 편이다. 향후 국내 방송시장 개방이 전격적으로 이뤄지고 외국 PP가 도입되면 MSP로 무장한 국내 거대자본과 생존을 도모하는 개별 PP의 전략이 어떤 방향성을 보여줄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