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오피니언

[기고] NAB Show 2025 참관기…AI 기반의 영상 편집, 제작과 디지털 스트리밍

제가 이번 NAB 2025에서 흥미롭게 관람한 분야는 AI를 등에 업은 영상 편집, 제작 분야와 디지털 스트리밍 분야입니다. 우선 디지털 스트리밍의 경우 작년까지 AI, 인터렉티브 경험과 함께 핵심 키워드로 많이 소개되었던 FAST(Free Ad-Supported Streaming...

[기고] NAB Show 2025 참관기…주요 기술 및 기업 솔루션 동향

1. 행사 정보 - 행사명 : 2025 NAB Show - 장소 :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 일시 : 2025년 4월 5일 ~ 4월 9일 - 참가 목적 : 글로벌 방송기술 트렌드 파악 및 신기술 동향 분석 2025 NAB Show는 라스베이거스...

[기고] NAB Show 2025 참관기…인상 깊었던 주요 기술 트렌드 세 가지

이번에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의 지원을 받아 처음으로 NAB 2025 전시회를 참관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습니다. 현재 저는 사내 방송 시설 설계 및 차세대 기술 기획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자연스럽게 이번 박람회에서도 관련 분야 위주로...

[사설] 2025년 봄, 방송기술인의 길을 다시 생각하다

2025년, 어느덧 어두운 터널을 지나 나무마다 예쁜 꽃과 푸른 새싹이 피어나는 따뜻한 봄이 되었습니다. 연합회원사들도 외부 및 내부의 복잡한 문제들이 점차 해소되며, 방송사들은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

[칼럼] 지브리 스타일과 오픈AI 스타일

오픈AI CEO 샘 올트먼이 소셜 미디어 효과를 단단히 보고 있다. 자신의 X 프사(프로필 사진)를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바꾸며 유행을 따라갔을 뿐인데, 챗GPT의 유료 가입자가 450만명 이상 증가하며 2,000만명을 넘었기 때문이다. 이미지 생성 기능의...

[기고]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지평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4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물리학에서 AI 영화 제작으로 물리학부 학생에서 창작자로의 변신. 나의 여정은 예기치 않게 시작되었다. 물리학을 전공하는 동시에 개발자로서 AI 기반 플랫폼 사업을 구상했지만, 현실의 벽은 높았다. 비즈니스 모델의 한계,...

[성명서] 전문성 결여된 일방적인 조직개편을 즉각 중단하라

YTN 이사회가 소문으로만 무성했던 일방적인 조직개편안을 의결했다. YTN 사측은 구성원들의 의견은 무시한 채 이사회 의결 직후 조직개편과 인사발령을 단행했다. ‘기술과 영상’이라는 업무 연관성이 하나도 없는 두 조직을 통합해버린 것이다. 이에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는 기술과 영상이라는 업무에...

[성명서] “신동호 EBS 사장 임명은 원천 무효” ...

방송통신위원회가 결국 내정설이 돌던 신동호 EBS 이사를 신임 사장으로 임명했다. 예로부터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 할 정도로 백 년 앞을 내다보며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말이 있는데 우리나라 교육을 책임지는 한 축인 교육방송 EBS의 사장을 위법적 2인...

[사설] DMB 20주년의 단상…

# 단상 1 최근 국회에서 진행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에게 지상파DMB를 시청하는 국민이 몇 %인지 알고 있냐고 질의하며 장비 단종으로 인해 노후 교체조차도 불가능한 DMB에 대한 정부 차원의 정책 마련을...

[칼럼] Software 기반 기술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은 기존의 네트워크 장비들이 수행하던 기능들을 소프트웨어로 정의하여, 네트워크의 제어와 관리를 중앙 집중화하는 기술이다. 국내에서는 약 10년전 쯤 SDN은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등장하였다. 기존 IP 네트워크 망은 하드웨어 중심의 폐쇄망의 성격이 강하였기에,...

[기고] AI와 리테일 융합: 패션・뷰티 소비 경험의 변화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3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올해 세계경제포럼(WEF)의 주제는 ‘지능형 시대의 협업’이었다. 이는 2025년이 AI와 우리 일상이 밀접하게 융합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AI의 성패는 다보스 포럼의 주제처럼, 바로 ‘파트너십’에 달렸으며,...

[사설] 대한민국 방송의 미래와 공영방송의 존재 이유

2025년, 대한민국 방송계는 기술 혁신과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중대한 기로에 서 있습니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확장현실(XR) 등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미디어 소비 행태가 빠르게 다변화하면서 방송 산업 전반에 걸쳐 구조적 변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