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기고] 2024년 미디어 산업과 AI 기술, 그리고 2025년 전망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12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올해 미디어 시장은 격변의 시기를 맞이했다. 국내 미디어 산업은 재무적 악순환과 글로벌 경쟁의 피폐함 속에서 대내외적 악재와 변수가 영향을 미치며 그야말로 위기 중의 위기였다. 2025년도에도 상황은...

[기고] 일상 속 편의를 제공하는 AI 서비스 사례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11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AI는 기술이라는 도구적 수단을 넘어서 국가 단위의 대규모 경제활동을 이끄는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마치 과거 철강산업과 통신산업이 그랬듯이 AI가 국가의 미래 경제를 견인할 기간 산업으로...

[기고] TV의 변화, 커넥티드TV(CTV)

넷플릭스(Netflix), 티빙(TVING)과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한 콘텐츠 소비가 보편화됐다. 이미 MZ 세대와 같은 젊은 미디어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코드컷팅(Cord-cutting)과 코드네버(Cord-Never) 현상은 증가하고 있지만, 케이블TV, IPTV, 위성TV 등 기존 유료 방송의 시청은 감소하고 있다. 다국적...

[기고] AI 시장의 현재와 AI 영상 제작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9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AI 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의 패권 경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 AI 기술이 전 영역에서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성장 동력으로 거론되며 AI 기술력이 곧, 국가 생존을 결정할...

[기고] ‘CONTENT TOKYO 2024’에서 느낀 실감미디어의 변화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9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흔히 실감미디어라고 하면 현실 세계를 가상으로 구현해 내거나 현실 세계와 가상의 그래픽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그래픽 요소를 통해 현실을 확장하여 표현할 수 있는 미디어 기술을 말한다. 2024년...

[기고] 국내 OTT 산업의 난제와 새로운 도전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지금 OTT 산업 전체가 아슬아슬하다. 급격한 성장과 확산을 보였던 OTT는 지난해부터 국내외 성장률에서 모두 둔화 양상을 보이며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OTT 산업이 짧은 기간에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기고] KBS XR 제작기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XR 기술이 바꾸는 스튜디오 제작 XR(확장 현실) 기술은 전통적인 스튜디오 제작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XR 기술은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혼합 현실(MR)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 기술을 활용하면 더욱...

[기고] 새로운 AI 패러다임의 시작, 온디바이스 AI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7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AI 패러다임은 계속 진화하며 확장한다. 지난해 AI 논점은 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 환경 인프라를 만드는 것으로, AI 기술의 개발이나 고도화와 같은 후방 산업에 주력했다. 반면 올해부터...

[기고] 쿠팡의 와우 멤버십 요금제 인상과 숨은 의미 찾기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6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지난 4월 13일, 쿠팡(Coupang)이 자사 유료 서비스 ‘와우 멤버십’ 가격을 인상한다고 발표하였다. 인상된 와우 멤버십 가격은 신규 이용자부터 바로 적용된다고 밝혔고, 기존 이용자는 오는 8월부터 적용될...

[기고] ‘범죄도시’가 보여주는 영화 콘텐츠 흥행 공식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6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 ‘범죄도시’ 시리즈의 첫 번째 영화 제목은 ‘범죄도시’이지만, 본 원고에서는 영화 시리즈 구분을 위해 편의상 ‘범죄도시1’로 구분해 표기했다. 영화 ‘범죄도시4’의 누적 관객 수는 5월 18일 현재 천만...

[기고] 방송사는 이제껏 이용자 분석을 제대로 한 적이 없다(?)

필자가 십 년 전부터 학술대회나 특강처럼 외부에서 의견을 낼 일이 있을 때마다 항상 해 왔던 말이 있다. “방송사는 이제껏 이용자 분석을 제대로 한 적이 없다.”는 말이다. 십 년 전 소위 빅데이터라고 불리는 대규모·대용량...

[기고] 소라(SORA)를 통한 동영상의 혁신, 방송사에 이익이 될까? 손해를 끼칠까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4년 4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 본 원고에서 사용된 그림은 openai.com/research/video-generation-models-as-world-simulators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생성형 AI ‘소라(Sora)’ 설명자료에 포함된 그림으로, 소라가 만든 사진 혹은 동영상의 한 장면에 해당합니다. 소라(SORA)는 동영상을 만들어 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