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기고] 국내외 지역 방송사의 AI 활용과 과제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10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미디어 산업에서 AI 활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대형 방송사들은 사실상 AI 전환(AI Transformation)을 핵심 전략으로 채택하며, 뉴스...

[기고] IBC 2025 참관기

1. 개요 IBC(International Broadcasting Convention) 2025는 방송ㆍ엔터테인먼트ㆍ미디어 기술 분야에서, 콘텐츠 제작ㆍ관리ㆍ배포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혁신 트렌드와 솔루션을 소개하는 연례행사로, 2025년 9월 11일부터 9월 14일까지 암스테르담 RAI 컨벤션 센터에서 진행하였으며 전 세계 1,350여 개사, 4만 5천...

[기고] IBC 2025 참관기…라디오 엔지니어의 시선에서 본 유럽의 디지털 라디오

● 암스테르담에서 느낀 첫인상 지난 9월 11일부터 5일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IBC 2025에 다녀왔다. 국내 방송장비 전시는 KOBA를 통해 여러 차례 보았지만, 라디오 분야 엔지니어로서 IBC는 조금 특별했다. 영상과 조명, 스트리밍 플랫폼이 화려하게 자리 잡은...

[기고] IBC 2025 참관기…AI·클라우드 혁신이 미디어 산업을 재정의하다

2025년 9월, 암스테르담 라이(Amsterdam RAI) 전시장에서 개최된 IBC(International Broadcasting Convention)는 올해도 전 세계 미디어, 방송, IT 분야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대규모 기술 축제였다. IBC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새로운 기술 트렌드와 업계의 미래...

[기고] 이용자 경험을 강화한 OTT 플랫폼 전략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9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미디어 경쟁 방식이 다시 변화하고 있다. OTT 플랫폼이 미디어 산업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은 이후, 주요 사업자들은 오랫동안 구독자 확보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데 주력해 왔다....

[기고] 영상 산업의 새로운 창작 파트너 생성형 AI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AI와 인간의 협업은 이제 실험 단계를 넘어 본격적인 실천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생성형 AI의 등장은 단순 반복 작업을 넘어, 창의적 표현 과정에 직접 개입함으로써, AI를 지능적이며...

[기고] AI 기술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AI 데이터센터 설계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7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AI 패권 경쟁은 이제 기업 간 경쟁을 넘어 국가 간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는 지금, AI와 인간이 서로 공존하고 협업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초지능(superintelligence) 사회를 살아가고...

[기고] 공영방송, 정권의 전리품에서 국민의 품으로 ...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방송통신위원장의 일방적 교체와 2인 체제 방통위에서 공영방송을 장악하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수신료 재원을 통제하고 낙하산 사장의 임명을 통해 공영방송 인사와 프로그램의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공영방송이 정권의 홍보 도구화로 활용되었다는 비판이...

[기고] 불확실한 외부 환경에 대응하는 넷플릭스 전략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6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본격적인 관세 전쟁을 선언한 이후,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잠재적 경기 침체와 시장 위축 우려가 확산하며 현실화하고 있다. 이에 국내외 많은 기업이 마케팅...

[기고] ATSC 3.0 글로벌 확산과 DTV 방송 종료

<본 글은 『KOBA 2025 Daily News』에 실린 원고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본방송을 시작한 2세대 지상파 방송 표준인 ATSC 3.0은 북미를 넘어 글로벌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확산하고 있다. 특히, 작년 2024년 8월 SET Expo 2024에서는...

[기고] 추격자에서 선도자가 된 중국, 새로운 AI 기술의 패러다임을 던지다

<본 글은 『KOBA 2025 Daily News』에 실린 원고입니다.> 최근 중국계 기술이 무서운 성장세를 보인다. 특히 2025년이 시작되자마자 큰 충격과 화제를 불러온 생성형 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 사례는, 이미 중국의 기술력이 상당한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준다. 물론...

[기고] 챗지피티 시대, 영상 현지화의 판이 바뀐다

<본 글은 『KOBA 2025 Daily News』에 실린 원고입니다.>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기술은 일상적인 정보 검색부터 콘텐츠 제작, 번역, 기획 업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챗지피티(ChatGPT)처럼 대화형으로 작동하는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의 등장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