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TV, HTML5로 헤쳐 모여!

스마트 TV, HTML5로 헤쳐 모여!

901

스마트 IPTV는 물론 스마트 케이블 방송, 여기에 하드웨어적인 요소를 제외하고라도 어김없이 등장하게 되는 이름이 있다. ‘스마트’라는 단어가 붙은 1, 2차 플랫폼에 모두 적용되는 그 이름, 바로 HTML5다.

HTML5 기반으로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과 콘텐츠가 스마트 TV 플랫폼 시장 확대에 필수요소로 꼽히고 있다. 당장 국내 플랫폼 분위기가 심상치않다. 스마트 IPTV의 후발주자인 SKT가 운영체제를 안드로이드를 채택하긴 했지만, KT가 HTML5를 채택하고 그 외 스마트 케이블 상품을 준비하는 케이블 업체들이 HTML5를 공동으로 선택하는 등 해당 표준방식을 중심으로 모든 스마트 디바이스가 헤쳐모이는 분위기다. 물론 대부분의 단말기나 셋톱박스(STB)용 플랫폼으로 안드로이드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독립적인 HTML5 플랫폼이 확산될 가능성도 높다.

TV 플랫폼에서 HTML5가 강조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방식의 통일성이 관련 산업의 진흥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그리 녹녹치 않다. 아직은 각자의 스마트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구동체제를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장 삼성전자와 LG전자 스마트 TV 제품은 각각 독자적인 운영체제(OS)를 쓴다. 그리고 해외 STB들은 자바 등 전용 임베디드나 리눅스를 쓰는 경우가 많고 국내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비중이 높은 편이다. 각각의 전용OS, 임베디드 리눅스, 안드로이드기반 단말기가 제각각 활용된다.

하지만 같은 안드로이드 체제라고 해도 IPTV로 분류되는 구글TV와 STB가 다르고, OS에서 오는 차이점도 명확하기 때문에 업계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HTML5로의 통일화에 쏠리고 있다.

당장 호환성 부분에서 강력한 장점을 보유한 HTML5가 차세대 스마트 TV 플랫폼의 대세로 굳어질 공산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유료 방송 플랫폼의 경우 이러한 추세가 점점 노골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방송통신위원회의 ‘스마트TV생태계조성’ 기조에 따라 지상파, IPTV, 디지털케이블TV같은 여러 방송매체간 앱 호환과 특정 OS 종속성이 없도록 한다는 취지로 ‘양방향방송표준화위원회’를 통해 지난해 2월부터 단계별 표준화를 추진해온 점도 고무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