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관심’에 더 힘든 지상파DMB

‘무관심’에 더 힘든 지상파DMB

1030

“한달 수익 1억원, 고정비용 5~6억원. 방송을 하면 할수록 손해죠. ‘서비스 2년만에 800만 가입’이라면 외형적으로는 탄탄해 보이고 화려해보이지만, 이 상태로는 앞날이 막막할 뿐입니다” 김윤섭 지상파DMB특별위원회(이하 디특위) 사무국장은“아무리 지상파의 이동성을 보안하기 위해 태어났다고 하지만, 뉴미디어 매체인 지상파DMB를 기존 방송법의 틀에만 묶어놓으려 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이 죽을 날만 기다리고 있는 형편”이라고 지상파DMB 정책에 대한 불만을 토로했다.

지상파DMB특위가 생각하는 위기의 가장 큰 원인은광고외수익모델이부재하다는점이다.‘ 새로운 미디어’이기에‘새로운 방식의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고 송수신 시설에도 많은 투자를 해야 하지만 광고외 수익모델은 전무하다.

방송하면 할수록 손해
독립 법인엔 규제완화해야

더군다나, 광고효과를 어떻게 측정하고 단가는 또 어떻게 적용할지, 광고형태는 어떻게 해야 DMB특성에 맞을 것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도 없이 일반 TV 광고 모델을 그대로 적용한데다 시청률이나 광고영향력에 대한 연구도 전무하다보니 광고주들의 주목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때문에, 서비스를 하면 할수록 손해라는 생각에 일부 지역지상파DMB 사업자는 선뜻 DMB 서비스에 뛰어들지 못하고 있으며, 이미 서비스를 시작한 곳에서도 계속 늘어만가는 적자폭에 당황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지상파 방송에 준하는 제제도 지상파DMB의 앞날을 암울하게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해 김윤섭 디특위 사무국장은“기존 방송법의 틀에 묶어 놓으려면‘무료보편적 서비스’라고 명시를 하고 각종 지원책을 마련하던지 그것도 아니면 독립된 별도법인의 지분완화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일예로 한국DMB나 U1 미디어는 대주주가 증자를 해서 자본잠식을 막고 싶다고 해도 법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와함께 광고규제 완화와 시청행태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완벽히 지상파의 그것을 그대로 적용한 편성비율 고시도 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무도 관심이 없다
죽을 날만 기다려야 하나?

지상파를 통한 홍보 부족도 아쉬운 측면이다. “이 방송은 지상파DMB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의 자막광고라도 한 줄 나간다면 큰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문제는 이러한 개선책을 주로 담은 디특위의 정책 건의를 지난 5월 방송위가 받아들여 9월경 규제개혁위원회에 상정하였으나 아직껏 계류중이라는 점이다. 더군다나 이번 위성DMB의 지상파DMB재전송과 관련한 성명을 통해 언론노조가 지상파DMB에 대해“DTV이동수신수단과 뉴미디어로서 이중적 채널 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 이중적 채널 정책을 유지하는 한 재원구조 해결이 어려우므로 지상파DTV만을 의무재송신하는 일대일 전환방식으로 변경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도 디특위에서 원하는‘뉴미디어로서의 우호적인 주변상황 형성’과는 차이가 있어 보인다.

정부는 지난 11월 26일 싱가폴에서 지상파DMB기반의 교통정보서비스가 구축되는 등 아시아지역에서 지상파DMB 진출이 본격화될 전망이라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해외에서는 잘나가냐는 질문에 지상파DMB 관계자는“지상파DMB 해외진출에 쏟는 노력의 반이라도 국내 업체들을 위해서 기울여 줬으면 좋겠다. 국내에서는 다 죽어가는데”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