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HD, 3D와 다르다

UHD, 3D와 다르다

516

NAB 2014를 통해 사실상 세계는 UHD 기술 원숙기에 접어들었다. 지금까지 UHD 카메라에만 집중됐던 기술력이 편집 및 압축장비를 아우르는 인프라 전반으로 번지기 시작했고 디스플레이의 성장을 통해 강력한 상승동력까지 완비했다.

4월은 대한민국 UHD 발전사에 있어 상당한 의미가 있다. 700MHz 대역 주파수를 활용한 지상파 UHD 실험방송이 시작됐고 지상파 4사 공동 TF가 발족됐다. 케이블도 UHD 상용화를 천명하며 대대적인 홍보전을 펼치기 시작했으며 IPTV도 셋톱프리 방식과 기존 기술력을 끌어올린 UHD 로드맵을 준비하고 있다. 위성방송도 VOD에 집중한 특화전략을 통해 하반기에는 실시간 UHD 방송을 기획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프라 전반으로 퍼지는 UHD 기술력은 어디까지 왔을까. 해당 기술에 있어 국산장비 고도화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는 가운데 해외 유수의 기업들은 벌써부터 UHD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분야에 있어 국내 제조사들이 OLED와 LCD, LED 사이에서 방황하는 사이 일본의 소니는 세계 시장 점유율을 끌어 올리며 수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물론 국내 제조사의 실적도 올라가고 있지만 아직 세계 UHD의 강자는 소니다.

특히 소니는 CES 2014부터 NAB 2014까지 다수의 UHD 카메라를 선보여 눈길을 끈다. 소니의 UHD 대중화 전략에서 기인한 Alpha 7s 미러리스 카메라가 대표적이다. 12mp급의 풀프레임 서버를 장착한 본모델은 UHD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며 외부 레코더를 활용하면 동영상도 커버할 수 있다. 이르면 올해 출시 예정이다.

휴대용 캠코더의 강자인 블랙매직도 대규모 동영상 제작 환경을 고려한 URSA 모델과 방송 스튜디오 촬용 모델인 Studio Camera를 전면에 내세웠다. 세 개의 스크린을 탑재한 URSA는 7.5Kg의 무게로 상당한 중량감이 부담이지만 교체 가능한 센서를 통해 다양한 촬영기법을 적응할 수 있다. Studio Camera는 전통적인 블랙매직의 업그레이드 제품으로 여겨지며 기존 스튜디오 카메라에 UHD 기능이 탑재된 수준이지만, 낮은 가격이 강점으로 여겨진다.

막강한 기술력을 자랑하는 일본의 JVC도 다크호스다. 세계 최초 UHD 4k 캠코더 제품을 출시했을 만큼 해당 영역에서 상당한 기술력을 인정받는 JVC는 견착식 디지털 캠코더 2종과 미니 디지털 카메라 1종 등 3개의 모델을 출시했다. 하지만 UHD 영역에 있어 촬영장비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제작 인프라 기술력도 상승하고 있다. UHD 콘텐츠의 경우 HD대비 4배의 용량을 커버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관리해야 하는 기술도 눈부시게 발전하는 셈이다. 특히 무거워진 콘텐츠 전송량을 감당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 도입에 기술력이 집중되고 있다.

어도비의 PrimeTime 2.0이 대표적이다. 올해 4k 기능을 탑재할 것이 확실한 본 모델은 생방송 및 VOD 콘텐츠를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 전송하도록 할 방침이다. 여기에 시스코는 UHD 압축기술을 선도한다. 시스코는 대용량 영상을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클라우드 기반 가상화 동영상 프로세싱을 활용,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새로운 지평을 열기도 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업체들이 막강한 스토리지 개발과 송수신 모델을 속속 개발하거나, 혹은 계획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UHD가 3DTV의 전철을 밟을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 영화 아바타의 성공과 함께 3DTV가 방송기술의 대세로 등극했으나 콘텐츠 부족 및 기타 인프라 미비로 실질적인 동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UHD는 다르다. 콘텐츠와 플랫폼을 아우르는 강력한 인프라 구성이 비교적 손쉽게 시장에 안착하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성공의 전제 조건에는 무료 보편의 기간 UHD 미디어 인프라 구축과 국산장비 고도화라는 숙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