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V 수신전계강도, 실내수신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DTV 수신전계강도, 실내수신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1524

DTV 수신전계강도, 실내수신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SBS기술팀 부장  박 성 규

아날로그TV에서 디지털TV 시대로 바뀌면서 HD방송으로 인해 영상품질의 획기적인 향상을 가져왔다. 아울러 고스트 없는 깨끗한 화면과 5.1채널 입체음향 기술이 특징이며 데이터방송과 MMS(multi Mode Service)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한 것이 디지털TV의 장점이다. 그런데 그 동안 디지털TV에 걸었던 가장 큰 기대와 특징은 간과하기 쉽다. 그것은 아날로그TV 시절에 우리가 가장 불편했던 것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면 쉽게 알아챌 수 있다.

아날로그 방송은 고스트와 노이즈 문제로 인해 깨끗한 화면을 수신하기란 무척 어렵다. 개인 주택이라면 지붕 위에 높은 장대 끝에 야기안테나를 달아야 제대로 TV를 볼 수 있다. 물론 실내안테나로 깨끗하게 수신할 수 있다면 그 집은 복 터진 집이다.

디지털TV에 걸었던 희망은 이제는 손쉽게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시대에는 전화도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시대가 아닌가? 디지털방송 서비스 중 DMB방송은 이동수신도 되고 실내수신도 기대만큼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가능하다. 그러나 DTV는 수신이 자유롭다는 평을 쓰기에는 아직 불편이 많다. DTV일지라도 수신방법은 과거보다 크게 나아진 것이 없다. 오히려 수신이 더 까다롭다는 선입관이 앞서 있다. 물론 4세대, 5세대 수신칩이 나오면서 멀티패스에 취약하다던 ATSC방식도 초창기보다는 훨씬 수신이 좋아졌다. 실내 안테나일지라도 창가에 잘만 배치한다면 5개 방송채널이 모두 잡히는 행운도 얻을 수 있다. 그렇다고 실내수신이 자유롭다는 것은 아니다. 좀 더 실내수신이 자유롭게 되려면 수신칩의 성능이 더 좋아지던지 방송국에서 DTV의 송신출력을 높이거나 DTVR 중계기 숫자를 늘려야 한다. 그 외에도 극소출력 소형 DTVR중계기 활용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아직은 아날로그TV가 공존하고 있어 DTV송신기의 출력을 높이면 서로 간섭을 줄 수 있어 DTV송신기의 출력을 마음대로 높일 수 없다. 그렇다고 주파수 자원의 한정으로 DTVR 중계기를 마음껏 늘릴 수도 없다. 그러니 2012년 아날로그TV방송이 중단될 때 간섭 없는 주파수 재배치가 가능해지고 DTV의 출력을 올릴 수 있는 시기가 온다.

DTV의 출력을 올리려면 수신전계강도 기준이 바뀌어야 한다. 이제는 실내수신이 수신전계강도 측정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그 동안 9m 높이의 야기안테나를 기준으로 41dBuV/m 을 방송구역 전계강도 기준으로 사용해 왔다. 이 기준은 이제 실내수신 수준으로 기준이 바뀌어야 시청자의 DTV수신형태가 바뀌는데 부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야외수신측정 기준높이도 1.5m정도로 낮추어야 하고, 실내수신기준도 베란다 창문 안쪽 1m 이내에서 수신 가능한 수신전계강도를 측정하는 등 새로운 표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실내수신이 가능하도록 출력을 높이려면 그 동안 DTV 송신출력을 가급적 아날로그TV 송출전력 기준 1/10 이내에서 배정하고 있는 제약도 바뀌어야 한다. 사실 이 제약은 아날로그TV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이었으므로 2012년 아날로그TV가 종료되면 자연히 새로 바뀌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본다. 그 외에도 DTVR 중계기 배치 숫자를 늘리거나 극소출력 소형중계기를 허가하여 아파트나 대형 건물 등에 가려진 인위적 난시청지역 해소를 적극 해소함으로써 디지털TV 시대에는 시청자가 좀더 손쉽게 TV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정부와 방송사가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