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장애 사태에 묻힌 과기정통부 국감 ...
10월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시작으로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가 시작됐다. 이번 과기정통부 국감의 최대 현안은 올해 초부터 잇따라 발생한 이동통신사 해킹 문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다수였으나 국감 직전 국가 전산망 장애 사태가 일어나는 바람에 최대...
[기고] 국내외 지역 방송사의 AI 활용과 과제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10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미디어 산업에서 AI 활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대형 방송사들은 사실상 AI 전환(AI Transformation)을 핵심 전략으로 채택하며, 뉴스...
[기술용어] 퀸사(QuINSA)
퀸사(Quantum INdustrial Standard Association, QuINSA)는 우리나라 주도의 양자 정보 기술 분야 국제 사실표준화 기구이다.
지속 가능한 글로벌 양자 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출범한 퀸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운영하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미래양자융합센터(QCI)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 민간 협의체다.
창립 회원으로...
방통위 폐지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10월 1일 공식 출범 ...
방송통신위원회가 17년 만에 폐지되고,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가 10월 1일 공식 출범했다. 이는 9월 30일 국무회의에서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안이 의결‧공포된 데 따른 것이다.
방송미디어통신위는 대통령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장과 부위원장, 상임위원 1명, 비상임위원 4명...
이진숙, 방통위 폐지에 “국무회의 다음날 즉각 헌법소원”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이 연일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법을 비판하고 나섰다.
이 위원장은 9월 29일 방송미디어통신위 설치법 시행을 앞두고 “대한민국 헌법이 살아있다면 헌법을 해석하는 분들이 방송미디어통신위 설치법이라는 사실상 표적 입법을 위헌으로 판단할 것”이라며 “오직 이진숙을 제거하기 위한...
‘방송미디어통신위 설치법’ 국회 통과…이진숙, 법적대응 예고
방송통신위원회를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로 개편하는 내용을 담은 일명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법이 9월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에서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안’을 재석 177명 중 찬성 176명, 반대 1명으로 가결했다. 해당 법안의 처리에 반대하며...
국회 과방위, KT 해킹 청문회…”이사 갔는데 더 나쁜 강도 만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9월 24일 이동통신 3사와 롯데카드에서 잇따라 발생한 해킹 사태와 관련해 청문회를 개최했다.
과방위 소속 여야 의원들의 집중 타깃은 축소‧은폐 의혹이 일고 있는 KT와 롯데카드였다. 앞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22일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
[기고] IBC 2025 참관기…AI·클라우드 혁신이 미디어 산업을 재정의하다
2025년 9월, 암스테르담 라이(Amsterdam RAI) 전시장에서 개최된 IBC(International Broadcasting Convention)는 올해도 전 세계 미디어, 방송, IT 분야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인 대규모 기술 축제였다. IBC는 단순한 전시회를 넘어, 새로운 기술 트렌드와 업계의 미래...
[사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출범, 그 기대와 아쉬움
정부가 지난 9월 7일 정부조직개편 방안을 발표한 데 이어 국회 또한 속도감 있게 관련 법안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 새 정부 들어 첫 번째 내놓은 조직개편안인 만큼 눈길가지 않는 내용이 없지만 기존 방송통신위원회를...
[기술용어] 제3자 쿠키
제3자 쿠키는 이용자가 방문한 웹사이트가 아닌, 다른 웹 브라우저가 설치해둔 데이터 파일을 의미한다.
보통 쿠키는 이용자가 방문한 웹사이트가 이용자의 웹 브라우저 예를 들면 사파리나 크롬 등에 저장시키는 작은 정보 조각이다. 방문 기록이나 로그인 정보...
[기고] 이용자 경험을 강화한 OTT 플랫폼 전략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5년 9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미디어 경쟁 방식이 다시 변화하고 있다. OTT 플랫폼이 미디어 산업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은 이후, 주요 사업자들은 오랫동안 구독자 확보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데 주력해 왔다....
KT, 개인정보 유출됐다…5,561명 유심 정보 유출 ...
KT가 무단 소액결제 사태의 원인으로 주목되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통해 이용자 5,561명의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확인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신고한다고 9월 11일 밝혔다.
KT는 자체 조사 결과 불법 소초형 기지국을 통해 일부 이용자의 가입자식별정보(IMSI)가 유출된 정황을...

![[기고] 국내외 지역 방송사의 AI 활용과 과제](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25/10/국내외-지역-방송사의-AI-05-180x135.jpg)
![[기술용어] 퀸사(QuINSA)](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25/10/603051412a2a2_O-180x135.jpg)




![[기고] IBC 2025 참관기…AI·클라우드 혁신이 미디어 산업을 재정의하다](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25/09/AWS-부스-180x135.jpg)
![[사설]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의 출범, 그 기대와 아쉬움](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22/10/과기정통부-방통위_로고-180x135.jpg)
![[기술용어] 제3자 쿠키](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25/09/5c7c3569ad5e0_O-180x135.jpg)
![[기고] 이용자 경험을 강화한 OTT 플랫폼 전략](http://journal.kobeta.com/wp-content/uploads/2025/09/OTT-플랫폼-전략-02_1-vert-640x724-180x135.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