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홈 오피니언
[기고] 미디어 콘텐츠의 제작 효율성을 위한 AI 기술의 활용과 가치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3년 9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최근 디지털 전환과 기술적 고도화가 빠르게 실현되면서 미디어 분야의 신기술 도입과 활용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특히 AI 기술은 글로벌 미디어 기업들이 콘텐츠와 이용자 데이터를 분석해서 기획,...
[기고] ‘나’라는 시청자는. 왜. ‘나는 솔로’에 심취하게 되었을까?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3년 9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2021년 7월부터 방영이 시작된 TV 프로그램 콘텐츠 <나는 솔로>는, 남녀 간의 데이팅 프로그램 형태로 제작된 콘텐츠다. 올해로 벌써 방영된 지 2년이 넘었으니, 실제 상황을 담은 리얼리티...
[사설] 모두의 방송
얼마 전 한 마트에서 두세 살 되어 보이는 아이가 열심히 태블릿PC를 시청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아이들이 태블릿PC, 휴대폰을 통해 영상 매체에 과몰입하는 문제는 차치하고, 이제는 훌쩍 커버린 우리 아이들의 어린 모습이...
[칼럼] 국산 인공지능 언어모델의 경쟁력과 R&D 예산
지난 8월 네이버가 대화형 인공지능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했다. 7월에는 LG도 엑사원을 공개했다. 이외에도 엔씨, 솔트룩스와 업스테이지 등도 자사 언어모델을 개발했다. 이러한 국산 인공지능 언어모델은 경쟁력이 있을까?
언어모델 경쟁력의 원천은 데이터, 자본, 그리고 인력이다. 데이터...
[칼럼] ‘아마존 고’ 무인 매장에 무슨 일이?
우리는 빅테크 기업의 새로운 서비스 도전을 보면서 기술이 세상을 움직이는 방향을 예측하곤 한다. 그래서 GAMA(Google, Apple, Meta, Amazon)나 MAGA(마이크로 소프트, 아마존, 구글, 애플)로 불리는 플랫폼 기업의 움직임에 따라 미래 비즈니스를 준비한다. 이들이 바로...
[사설] 공영방송 위기와 기술 투자
정권이 바뀌면서 공영방송사도 바람 잘 날이 없다. KBS는 2명의 이사가 바뀌어 여당 추천 이사 6명 야당 추천 이사 5명으로 여당 우위의 이사회 구성을 완료했다. EBS는 물론 MBC 방문진 이사 교체 작업도 진행되고 있어서...
[기고] MZ세대는 가고 잘파(Zalpha)세대가 온다
<본 글은 『월간 방송과기술』 2023년 8월호에 실린 원고입니다.>
우리는 수많은 미디어와 콘텐츠가 범람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 트렌드는 이용자들의 마음을 깊숙이 파고드는 강력한 힘을 가졌다. 대부분의 미디어 트렌드는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형성해왔고, 특히...
[칼럼] 통신비 인하와 6G 투자
통계청의 가계동향 조사에 의하면 월평균 가계 통신비가 2019년 12만 원대에서 2022년 13만 원대로 올랐다. 통신비 인하 방안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4 이동통신, 알뜰폰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았다. 2월 대통령께서 통신 시장 과점 해소를 요청한...
[기고] Global Digital Terrestrial Transmission(DTT) 워크숍 개최 ...
전 세계 방송통신기술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ETRI/KMOU(한국해양대)KBS/RRA(국립전파연구원)/ATSC의 주최로 지난 7월 19일부터 3일간 부산 신라스테이 호텔에서 Global Digital Terrestrial Transmission(이하 DTT)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차세대 디지털 방송 선도 위한 국제 워크숍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상파 UHD 방송 관련...
[사설] 기본도 철학도 없는 조직 개편
SBS A&T는 지난 6월 30일, 미래지향적인 조직으로 바꾼다는 명분 아래 엔지니어의 전문성과 부서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인사와 조직 개편을 기습적으로 강행했다. 기술팀의 경우, 기존 3팀 체제(보도기술팀, 제작기술팀, 중계기술팀)를 뉴스기술팀과 방송기술팀 2팀 체제로...
[사설] TV 수신료는 구독 서비스 요금이 아니다
정해진 기간에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우리는 일명 구독 서비스라 부른다. 과거부터 있어 왔던 렌털(케어)서비스가 이와 비슷해 보일 수도 있겠지만 서비스 이용 기간이나 사용료 지불에 있어서는 지금의 구독 서비스와는...
[칼럼] 챗GPT는 반도체 시장을 바꿀까?
지난 3월 GPT-4 발표 이후 산업별로 생성형 AI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챗GPT가 쏘아 올린 위기의식의 중심에는 ‘일자리’가 있다. 인공지능(AI)에게 내 일자리를 빼앗길 수 있다는 걱정 때문이다. 생성형 AI의 등장으로 대한민국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