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기고

[기고] MB정부의 방송정책은 보수적 인사들에게도 낙제점

강혜란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정책위원 언론도 국민도 숨이 막히던 MB정부가 끝나간다. 5개월 후면 차기 대선이다. 많은 언론이 마치 박근혜후보의 당선을 기정사실인양 떠들고 있으나 결과는 예측불허다. 지상파 방송, 조중동과 종합편성채널,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삼위일체가 되어 치룬 411총선임에도 불구하고 여야로...

[기고] 야만의 시대 2012년

이용마 MBC 노조 홍보국장 MBC가 파업에 돌입한지 어느새 150일을 넘었다. 방송사상 최장기 파업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는 것이다. 이에 앞서 노사협상을 타결지은 KBS도 100일 가까이 파업을 했다. 전두환 군사정권 당시에도 없던 공영방송사들의 연쇄 파업이다. 우리는...

[기고]미디어 환경 변화와 방송 콘텐츠 외주제작 환경 개선

임정수 서울여자대학교 언론영상학부 교수 인텔 CEO 폴 오텔리니는 2010년에 한 연설에서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진화하듯 TV도 스마트TV로 진화하고 있다. 앞으로 모든 가전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모든 콘텐츠가 TV로 들어올 것이다”라고 하였다. 사사키 도시나오는 그의 저술 <신문 텔레비전의...

일본 디지털 전환 추진과정과 국내 현황 비교

KBS 송신시설부 김민중 우리나라는 2012년 12월 31일 지상파TV 아날로그방송을 종료하고 디지털방송으로 완전히 전환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KBS를 비롯한 방송사와 DTV Korea 등 관련 기관에서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에서는 디지털...

2012년 성공적인 아날로그 TV방송 종료를 위한 제언

강동구 KBS 남산송신소장 “2012년 12월 31일 새벽 4시를 기해 현재 아날로그로 방송되고 있는 모든 국내 지상파 TV방송을 종료 한다”는 것이 디지털 전환 특별법의 시행령으로 정해진 정부의 계획이다. 이를 위해서, 지상파 방송사들은 ASO(Analog Switch-Off, 아날로그 방송...

[기고]지상파방송에 대한 비대칭규제 문제점과 개선방향

김경환 교수 종합편성채널은 국내 방송산업의 구조 개편을 초래할 전망이다. 물론 새로운 방송산업 구조의 등장이 현재의 구조보다 훨씬 경제적이고 효율적일 수도 있다. 하지만 종합편성채널의 등장이 미칠 파장은 신문과 방송의 겸영이라는 매체 및 여론 집중에 대한 비판에...

UHDTV 현황

UHDTV 현황 KBS 기술연구소 이근식 DTV 이후의 차세대 텔레비전을 이야기할 때 어김없이 등장하는 3DTV와 UHDTV(Ultra High Definition TV)는 이제 더 이상 새롭지 않다. 과거의 아날로그 방송은 2012년에 완전 종료되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될 예정이며, 현재의 DTV...

UHDTV의 미래. 어떻게 개발하고, 발전해 나갈 것인가

  UHDTV의 미래. 어떻게 개발하고, 발전해 나갈 것인가 박구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1. 들어가며 2012년 12월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방송사는 이에 대한 준비를 하느라 다른데 신경을 쓸 여유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방송사들은 끊임없이...

[기고]종편 채널 개국과 방송 산업 기상도

종편 채널 개국과 방송 산업 기상도 윤석진(충남대 국문학과 교수, 드라마평론가) 한국 방송계의 지각 변동이 시작되고 있다. 우여곡절 끝에 2011년 3월에 채널 승인장을 교부받은 4개 종편 채널이 12월 개국을 목표로 서서히 시동을 걸고 있기 때문이다. 보도나 오락...

[기고]방송광고 활성화 방안

안대천 인하대 교수 방송과 통신의 융합, 디지털방송 전환, 모바일과 스마트로 대변되는 다양한 매체의 출현, 글로벌 시장 체제 등 지난 몇 년간 우리나라 방송시장을 둘러싼 급속한 환경변화가 진행 중이다. 2,000년 이후 방송을 포함한 미디어 산업의 변화가 생존을...

[기고]전국민 몰래 카메라 시대: TV 뉴스 자료 영상 이대로 좋은가?

홍성구 교수 저널리즘이라는 용어에서도 알 수 있듯이 뉴스라는 정보 전달 양식은 인쇄매체에서 출발했다. 미국의 초기 라디오 뉴스는 신문 기사를 그대로 읽어주는 것이 서비스의 전부였다. 하지만 TV가 등장하면서 방송은 인쇄 매체의 그늘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저널리즘 양식을...

[기고] 현 주파수 경매제, 최선일까.

문보경 전자신문 기자 지난 17일부터 주파수 경매가 진행 중이다. 국내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800㎒, 1.8㎓, 2.1㎓ 세 주파수가 그 대상이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달 주파수 경매에 관한 주파수할당신청서와 주파수이용계획서를 접수받은 결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