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 2014의 화두 중 하나는 통신사와 제조사의 화학적 융합이다. 특히 국내 통신사를 중심으로 글로벌 제조사들이 협력해 일궈낸 3밴드 주파수집성 기술, 일명 CA(캐리어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기술은 통신의 스피드를 한 단계 끌어올린 쾌거로 여겨진다. 진화한 LTE-A 기술의 미래를 여실히 보여주었다는 평가다.
KT는 이번 MWC 2014에서 기가 와이파이를 접목해 600Mbps를 상회하는 속도를 구현했다. LTE-A 이종망 결합기술을 통해 ‘빠른 스피드’에 방점을 찍은 기술을 선보인 셈이다. 또 밴드 CA 기술로 속도를 기존 LTE 대비 6배, LTE-A 대비 3배 향상시킨 최대 450bps 속도를 시연하는 것에도 성공했다. GSMA의 이벤트관 ‘커넥티드 시티(Connected city)에서 기가 와이파이와 광대역 LTE를 결합한 것이다.
![]() |
||
물론 다른 국내 통신사도 해당 기술을 통해 차세대 LTE 기술을 시연했다. 특히 SKT가 3밴드 CA을 통해 LTE-A보다도 세 배 빠른 초당 450Mbps 속도를 달성했다며 부스 한 가운데서 시연한 것이 특징적이다.
이번에 MWC 2014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진화한 LTE-A 기술의 지향점은 UHDTV로 수렴된다. 통신사의 속도경쟁이 불을 뿜으며 자연스럽게 대용량의 초고속 전송이 가능해졌으며, LTE 방송 중계의 지평을 새롭게 열었다는 분석이다. 특히 기존의 데이터와는 비교할 수 없는 UHDTV 콘텐츠를 LTE로 활용해 전송하는 기술이 이번 MWC 2014를 통해 새롭게 조명된 부분은 커다란 성과다.
이미 KT와 삼성전자는 HD급 영상을 다수의 시청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LTE 멀티캐스트(eMBMS)를 상용화했다. eMBMS는 LTE 네트워크를 이용해 가입자에게 일반 DMB 화질의 10배에 이르는 HD 영상을 전송하는 기술이다. 종전에는 기지국 내 방송 콘텐츠 이용자 수만큼 같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했다. 그러나 이 기술을 적용하면 한 번의 데이터 전송으로 다수의 가입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대규모 콘서트·스포츠 경기 중계에 효과적이다.
![]() |
||
이러한 기술적 발판에 MWC 2014의 성과가 더해진다면 그 시너지 효과는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 미디어 플랫폼의 비전이 UHDTV로 수렴되는 현재 LTE를 넘어선 기술적 비전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빨라지는 통신사의 망 서비스가 종국에는 망 중립성을 포함한 다양한 논쟁을 불러올 가능성도 높다는 점에서 그 미래가 마냥 밝은것은 아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기가 인터넷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초고속 인터넷이 상용화된 곳이다. 이런 상황에서 속도경쟁은 통신사들의 망 투자비용을 상승시키고 그 부담은 온전히 소비자가 지게 될 확률이 높다. 빠른 속도로 무장한 통신 서비스가 방송중계의 새지평을 열것이 확실하지만, 그 만큼 신중하고 체계적인 방향설정도 중요할 전망이다.
(본 기사는 MWC 2014 현지에서 취재하는 공동취재풀단의 자료를 공유했으며, 본지가 기본적인 수정 후 탈고한 기사입니다. 무단 전제 및 복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