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지상파 UHD 본방송을 개시하고 두 달을 조금 넘긴 시점에 산적해 있는 개선 사항과 준비가 부족했던 부분에 대한 비판이 일고 있지만, UHD 방송이 이끌 새로운 방송 환경에 대한 기대는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야3당 의원이 주최하고 미래방송연구회가 주관한 ‘지상파 UHD 방송 활성화와 시청권 확보를 위한 전문가 정책 토론회’가 8월 22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실에서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 5월 31일 시작한 지상파 UHD 본방송의 현재를 진단하고 더 많은 국민이 UHD 방송을 즐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자리였다.
우선, 이형민 MBC UHD전환전략부장은 “UHD 방송 추진이 난관을 겪는 이유는 온 국민을 위한 서비스임에도 지상파 방송사의 투자와 노력만으로 가능하리라는 편견 때문”이라며 UHD 본방송 개시에도 불구하고 실제 UHD 방송의 수혜를 받고 있는 시청자가 적은 이유를 꼬집었다.
이 부장은 “지상파 방송사가 지속적 투자로 콘텐츠를 만들고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만큼 가전사도 시청자가 불편 없이 수신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수신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가전사뿐만 아니라 정부의 적극적 노력도 필요하며, 지상파 경영 악화를 개선하고 특별법 제정으로 진취적 진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런 방송사의 주장에 시민사회에서는 다소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노영란 매체비평우리스스로 사무국장은 “HD도 자리 잡지 않은 상황에서 차세대 방송을 준비하는 것에 문제제기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UHD는 방송사가 시청권과 수신 환경 개선을 주장하며 하겠다고 해 오늘까지 오게 된 것”이라며 지상파 방송사의 주장을 일축했다.
또한, 노 사무국장은 “로드맵을 단축하지 않는 한 UHD로 가다가 또 다른 방송에 밀리고 말 것”이라며 현재의 UHD 전환 로드맵을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UHD 전환 로드맵은 2025년에 HD 종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HD로 전환하고 UHD가 등장해 본방송을 개시하기까지 5년이 걸린 상황에서 UHD 이후의 차세대 방송의 등장 역시 2025년 전에 이뤄질 거라는 것이다. 노 사무국장은 “로드맵을 이렇게 길게 잡은 것은 방송사의 노후한 장비를 교체하겠다는 것뿐, 시청자를 위한다면 이런 식의 로드맵은 안 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김경환 상지대 교수 역시 이러한 주장에 일부분 동의했다. 김 교수는 “진정한 Full HD를 보는 사람도 거의 없는 상황에서 UHD를 말하니 시청자가 따라가기 어려운 것 같다”며 “하이브리드차도 못 타는데 수소차·전기차를 말하는 격”이라며 UHD 전환에 있어 시청자와 충분한 공론화가 없었고 그로 인해 생겨난 정서적 괴리를 지적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지상파 방송사의 입장이 명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UHD 전환을 통한 방송 수신 환경 개선이라는 이름으로 “유료방송은 새로운 가입자 확대에, 지상파는 재전송료를 더 받아보려는 방향으로 접근한다면 결국 시청자를 뜯어낸다는 느낌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지상파 방송사가 UHD 전환을 통해 진정으로 시청권 확보와 수신 환경 개선에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이처럼 큰 꿈으로 그려졌던 UHD 방송이 본방송 개시에도 눈에 띄는 성과가 보이지 않아 다소 회의적 평가가 잇달았지만, 지상파 UHD 방송이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는 여전히 기대를 모았다.
손지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방송관리과장은 “경영 악화 속에서도 여전히 강점을 가진 지상파 방송사의 영향력과 제작 역량은 유료방송 일변으로 가고 있는 우리나라 방송 환경의 변화를 불러올 구심점”이라며 지상파 UHD 방송을 중심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강구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제시했다.
특히, “양방향 서비스, 다채널 방송, 재난 방송 등은 굉장히 중요한 서비스이며 기술적으로는 가능한 상황”이라며 “기술이 가능하다면 정책적 노력을 통해 논의를 시작하고 개선을 통해 더 풍부한 방송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