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VSB 추진, 문제는?

8VSB 추진, 문제는?

643

종합편성채널 및 케이블 MSO에 대한 노골적인 특혜로 여겨지는 8VSB 허용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당장 미래창조과학부는 늦어도 1월 말이나 2월 초에 8VSB 기술기준 개정 고시를 발표할 계획이며 이후 입법예고기간 및 케이블 MSO의 상품구성과 약관승인, 시설 변경허가 등에는 90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반쪽짜리 디지털 전환이라는 오명과 특정 사업자에 대한 특혜논란은 8VSB 허용이 급물살을 탄다고 해도 여전히 심각한 결격사유로 남을 전망이다. 여기에 케이블 MMS 현실화와 지상파 MMS가 상충되는 문제는 지상파 방송의 형해화라는 점에서 잡음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 PP 퇴출을 막기 위해 컨버터 비용을 아우르는 막대한 초기 사업비도 변수로 부각된다. 미래부가 컨버터 비용에 대한 정부 지원은 없다고 못을 박았기 때문에 아날로그 TV를 보유한 아날로그 케이블 가입자를 둘러싼 논쟁은 더욱 달아오를 전망이다.

한편 전격적인 8VSB 허용을 두고 각 케이블 MSO의 이해득실 계산도 빨라지고 있다. 8VSB 허용을 통해 실보다는 득이 크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긴 하지만 각자의 디지털 전환율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다. 특히 앞에서 언급한 막대한 초기 사업비가 새로운 문제로 부상하는 만큼, 각 케이블 MSO의 8VSB 대응도 상이한 편이다. 8VSB 허용을 통해 가입자 방어에 나서며 수동적인 대응을 고수하는 MSO가 있는 반면, 디지털 전환율이 높은 MSO는 컨버터 지원보다는 디지털 케이블 전환 자체에 역량을 쏟는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여기에도 문제가 있다. 콘텐츠 산업 붕괴 및 특혜, 이어지는 반쪽짜리 디지털 전환과 지상파 방송의 형해화가 8VSB의 근본적인 문제라면 막대한 초기 사업비와 더불어 시청자의 시청권 피해는 실질적인 문제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실제로 8VSB가 허용되면 케이블 MSO는 전국을 셀 단위로 나누어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과정에서 누락되는 가입자는 막대한 시청권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또 디지털 전환율에 따라 상이한 접근방식을 취하는 케이블 MSO가 시장의 혼란은 물론, 궁극적으로 컨버터 지원과 디지털 전환 독려의 사이에서 갈피를 잡지 못할 확률도 높다. 이는 아날로그 TV를 보유한 아날로그 케이블 가입자가 겪을 불편 및 컨버터 비용과는 별개로 실질적인 화두로 급부상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