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최근 지상파 DMB 기능을 없앤 휴대폰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지상파 방송사들의 연합체인 한국방송협회는 “지상파 DMB 기능이 사라지면 ‘이동형 재난방송 매체’도 사라진다”며 제조사와 이를 방치한 정책당국을 비판하고 나섰다.
방송협회는 10월 4일 성명을 통해 “최근 국내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는 최대 휴대폰 제조사가 지상파 DMB 기능을 삭제한 채 신규 모델 출시를 강행했다”며 “제조사가 자의적 판단으로 ‘재난방송 수신매체’로 지정된 DMB 기능을 배제시킨 것은 참으로 황당한 일”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정부의 재난방송 정책기조와 상관없이 제조사의 상업적 편의성에 의해 재난방송 수신 기능이 임의로 삭제돼도 제재가 따르지 않는다는 규제의 허술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DMB는 이동통신망에 의존하지 않고도 재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이동형 매체이기 때문에 2014년 6월 ‘방송통신발전기본법’에 의해 재난방송 수신매체로 지정‧명시됐다. 또 방송통신위원회는 DMB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해 2017년 12월 지상파 DMB 방송사의 재허가 조건으로 고화질 DMB 방송의 시행을 요구하기도 했다.
방송협회는 “이러한 결정 이전에 제조사가 비공식적으로 규제기관에 이에 대한 언급을 했고, 규제기관이 특별한 대응을 하지 않았다는 의혹이 있다”고 말한 뒤 정부를 향해 “이제 더 이상 비상‧재난 상황에서 이동통신망에 의존하지 않은 무료 보편적 방식의 이동형 공적 재난방송 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아도 되는 것인가? 또 정부가 생각하는 지상파 DMB 외 이동형 재난방송에 대한 정책적 대안은 무엇이냐”고 되물었다.
또한 방송협회는 지상파 DMB에 대한 정책당국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했다. 방송협회 관계자는 “적어도 2~3년 내 이동형 재난 방송의 가장 현실적 대안은 지상파 DMB”라며 “화려함만 쫓고 중요한 핵심을 놓치는 정책 부재에 따른 패착의 반복은 종식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