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수어방송 의무편성 상향 등 소외계층 위한 정책 발표 ...

방통위, 수어방송 의무편성 상향 등 소외계층 위한 정책 발표
‘2022년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세부추진계획’ 수립

691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수어방송 의무편성비율을 높이고, 장애인 맞춤형TV 보급을 확대하는 등 미디어 소외계층을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

방통위는 지난해 수립한 ‘소외계층 미디어 포용 종합계획’을 추진하기 위해 마련된 2022년 세부추진계획을 5월 11일 밝혔다. 방통위를 이를 위해 지난해 127.61억 원 대비 27.5% 증액된 162.68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방통위는 먼저 장애인방송 고시 개정으로 한국수어방송 의무편성비율을 기존 5%에서 7%로 상향하고, 화면해설방송 재방송 편성비율을 기존 30%에서 25%로 축소했다. 또 장애인의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비실시간방송(VOD)에서도 자막방송, 화면해설방송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제작지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지난해까지 KBS‧MBC‧SBS‧EBS 등 지상파 4사를 지원해 왔으며, 장애인단체의 선호도, 시청점유율 등을 고려해 올해는 종편PP로 지원을 확대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해까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시‧청각장애인용 맞춤형TV를 보급했으나 올해부터는 전체 시‧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확대해 보급키로 했다. 방통위는 누적보급률 35% 달성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기존에는 지원TV를 일괄적으로 보급했으나 이용권 제공 등 개별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방식도 개선한다.

유료방송(IPTV)에 가입한 소외계층의 시청편의를 위해서 2020년 KT, 2021년 SK브로드밴드가 셋톱박스 장애인 특화기능 개발을 완료한데 이어 올해는 LG유플러스가 기능 개발에 참여한다.

방통위는 이외에도 일상생활에서 새로운 디지털신기술에 대한 장애인의 접근성을 제고해 미디어복지를 향유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올해부터 오는 2024년까지 재난재해 시 장애유형에 따라 정보를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재난정보전달서비스 플랫폼 위한 기술 개발에 착수하고, 개발 참여자간 협력을 위한 ‘이용자참여검증단(리빙랩)’을 구성‧운영한다.

청각장애인을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을 이용한 아바타수어 생성 시스템을 개발하고, 지난 2019년부터 추진해 온 음성-자막변환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기 위해 시범서비스(청각장애인 3,500여 명)도 실시할 계획이다.

또 장애인방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장애인단체가 직접 참여하는 ‘품질평가단’을 구성‧운영하고, 장애인방송 품질평가제도 방안을 마련한다.

아울러, 우수콘텐츠 장애인방송 영상 공모전, 국제 컨퍼런스 등 국민 참여 행사 개최와 장애인방송 홍보 콘텐츠를 제작‧배포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하고, UN ESCAP(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에 맞춤형TV를 기증하는 등 국제적인 협력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장애인 등 소외계층의 미디어 접근권을 보장하는 것은 포용적 사회를 만들어 가는데 중요한 정책적 과제”임을 강조한 뒤 “앞으로 장애인방송 제작지원 매체를 확대해 나가는 한편, 새로운 디지털기술 이용과 미디어 활용도를 높여나감으로써 소외계층의 디지털격차를 해소하고 국민과 동행하는 디지털 미디어 복지 실현을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