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기술용어]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68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서비스형 데스크톱(Desktop as a Service, DaaS)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아웃소싱 형태로 가상화된 데스크톱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이다.

클라우드에서 운영 체제와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 사용자에게 완전한 가상 데스크톱 환경을 제공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인터넷만 연결돼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어떤 디바이스를 이용하든지 자신의 데스크톱을 사용할 수 있다.

기존 VDI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특징은 비용 효율성이다.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는 고가의 시스템 구축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데 DaaS는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해 도입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aaS는 한컴 구름, 티맥스 구름, 하모니카OS 등 국산 개방형 OS를 지원한다. MS 윈도 등 기존 PC 이용 시 발행하는 OS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재택 근무와 원격 업무가 보편화되면서 DaaS 선호 현상은 더 확대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오는 2026년에는 DaaS 시장 지출 규모가 4,964만 달러에 육박한다. 가트너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중에서도 DaaS 부문이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세계 주요국에서는 DaaS를 비롯한 클라우드 서비스 전반에 걸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행정안전부는 행정 업무 전 분야에 DaaS를 핵심 기반 시설로 규정하고 2025년까지 공공기관 인터넷망을 DaaS로 전환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최신 ICT 시사용어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