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LG유플러스는 접수, 배차, 운송, 정산 등 화물 중개 및 운송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한 번에 제공하는 디지털전환(DX) 플랫폼 ‘화물잇고’를 선보이며 화물 운송 중개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밝혔다.
특히, LG유플러스가 타깃으로 삼은 것은 ‘미들 마일’ 시장이다. 미들마일은 제조 업체로부터 상품을 수거하는 단계인 ‘퍼스트 마일’, 최종 고객에게 배송하는 단계인 ‘라스트 마일’의 중간 단계로, 주로 판매자로부터 물류센터까지 B2B 운송을 의미한다.
LG유플러스는 미들 마일 시장의 디지털화에 추점을 두고 아날로그 화물시장의 비효율과 정보 비대칭을 개선해 택배 수준의 편의성과 신뢰로 화물 시장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할 방침이다.
이번에 선보이는 플랫폼 화물잇고는 화물 접수에서부터 배차, 운송, 정산, 거래처 관리 등 화물 중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플랫폼 안에서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주선사가 전용 웹을 통해 화물을 등록하면 차주들이 모바일 앱을 통해 원하는 화물을 직접 선택하는 구조로, 주선사와 차주 사이에서 적정 화물 매칭·빠른 배차를 제공하는 일종의 스마트 배차 서비스다.
LG유플러스는 실증 서비스를 통해 화물잇고 사용으로 업무량과 소요 시간이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며 “화물잇고가 국내 주선사들과 차주들의 업무 효율성을 크게 향상하리라 기대한다”고 전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서비스 출시에 앞서 기존 시장의 전통적 강자인 강동물류, 디버 등과 파트십을 체결했다. 강동물류와 디버는 화물잇고의 플랫폼 파트너로서 고객 확보 영역과 운송 최적화 영역을 지원한다. LG유플러스는 물류 시장 운영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가진 전통적 플레이어를 플랫폼으로 끌어들여 운영 경험을 공유하고 고객을 신속하게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안전하고 빠른 정산을 위해 신한카드와도 손을 잡았다. 기존 화물 시장의 복잡한 대급 지급을 인한 정산 지연이라는 고질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 운송료 전용 결제 카드를 도입해 편의성을 도모한다.
LG유플러스는 향후에도 다양한 파트너사들과의 전략적 협업을 확대해 전국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 플랫폼을 빠르게 성장시킬 계획이다. 또, 이용자 부담을 줄이고 플랫폼 이용률을 높여 시장에 빠르게 안착한다는 전략으로, 3년 내 1,500억 원 이상 매출 규모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LG유플러스 임장혁 전무·기업신사업그룹장은 “커넥티드 카, C-ITS/자율주행 등 다양한 B2B 모빌리티 분야에서 쌓아온 DX 경쟁력에 더해 업계 전문 파트너사의 역량을 활용하면 경쟁사보다 빠르게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화물 정보 포탈 서비스이자 강력한 DX 플랫폼인 화물잇고를 통해 상생하는 화물 시장 생태계를 빠르게 조성하고 아날로그 시장에 물류 혁신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