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기지국 신호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발 ...

KT, 기지국 신호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발
교통, 주거, 도시공간 재구조화 등 정책 수립 지원에 사용

185

[방송기술저널 전숙희 기자] KT가 휴대폰 기지국 신호 정보를 활용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5월 28일 밝혔다. 이 데이터는 서울시에 제공해 교통, 주거, 도시공간 재구조화 등 도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각 분야의 혁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쓰인다.

이번에 공개한 데이터는 KT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통계청, 수도권 내 3개 연구원과 협력한 결과로 지역을 포괄한 데이터를 개발해 상시 공개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시도다.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기존의 ‘서울 생활이동 데이터’보다 범위를 넓혔다. 서울·경기·인천 각 시도 안에서의 이동은 물론 시도 경계를 넘어 수도권 내에서 이동하거나, 수도권이 출발지이거나 도착지인 모든 사람의 이동을 집계한 데이터다.

출·퇴근과 등·하교 같이 정기적인 이동에서 쇼핑, 관광, 병원 등을 위해 이동하는 경우까지 행정 수요를 유발하는 모든 이동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는 서울과 수도권을 넘어 전국에서 서울과 수도권을 오가는 이동이 모두 대상이 된다.

KT의 휴대전화 통신 시그널 데이터를 기반으로 도시민들의 이동을 기지국 단위로 집계하고, 서울 포함 수도권 전역을 읍·면·동(1182개)보다 더 세밀한 총 4만 1천여 개 구역(250m 격자 단위)별로 20분 단위 이동을 추계하는 방식으로 산출했다.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준으로 얼마나 많은 인구가 이동했는지(이동 인구), 출근·등교·병원·쇼핑·관광 등 어떤 목적으로 이동했는지(이동 목적),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데 평균으로 얼마나 걸리는지(소요 시간)를 매일, 20분 단위로 집계해 산출한다. 모든 이동 정보는 시간대별·성별·연령대별로 세밀한 파악이 가능하다.

이번에 개발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앞으로 통근·통학 시간 단축을 위한 교통 인프라 개선, 버스 노선 최적화, 청년주택 입지 선정, 광역 도시공간 재설계 등 도시민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교통·주택·광역도시계획 정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도 통근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는 지역을 찾아 교통 인프라를 개선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또 수도권 지역과 서울 주변 지역 사이의 공간 구조를 재설계함으로써 거점별 행정 수요를 집중하거나 분산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거나 균형발전을 촉진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서울·경기·인천 간 촘촘한 이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동 인구가 많고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지역에 버스 노선을 신설하거나, 병원·쇼핑센터·학교 등 공공시설의 입지를 선정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준기 KT AI사업본부장(상무)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민·관·연 협력으로 성과를 창출한 사례”라며 “생활이동 데이터가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 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