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UHD 실험국 10월 초 예정

KBS UHD 실험국 10월 초 예정

521

KBS가 중심이 되어 추진하고 있는 UHD 실험국이 10월 초 정식으로 문을 열 전망이다. 차세대 뉴미디어 플랫폼으로 각광받고 있는 국내 UHD 기술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지상파 4사 기술본부장들이 KBS 기술연구소에 모여 UHD 협약식을 맺은지 꼭 반년째다.

   
 

UHDTV 기술은 아직 국내에서는 생소한 이름이지만 국제적으로는 미디어의 ‘차세대 먹거리’로 강력하게 부상하고 있는 기술이다. 가까운 일본은 이에 대한 로드맵을 세우고 장기적인 발전동력을 극대화하는 중이고 영국을 위시한 유럽 국가들도 UHDTV 발전 속도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올해 초 미국에서 열린 NAB 2012에서는 ‘콘텐츠 딜리버리’와 함께 ‘UHDTV의 미래’가 가장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며 각국 방송기술 관계자들이 엄청난 관심을 보인바 있다. 또한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가 주최하는 대표적인 방송장비 전시회이자 이제 국내를 넘어 이제 국제적인 인지도를 쌓아가고 있는 KOBA 2012에서도 UHDTV는 단연 최고의 관심사였다. 그리고 이번에 설립되는 UHD 송신시설은 그러한 ‘관심의 현실화’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KBS 관계자들은 "자체 TF팀을 통해 관악산 송신시설을 통한 성공적인 실험방송을 진행하겠다"는 포부를 내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를 둘러싼 주변 환경이 마냥 긍정적인 것은 아니다.

우선 방송사의 UHD 실험방송 자체를 부정적으로 재단하는 시선들이다. 특히 방송용 필수 주파수 영역에서 지상파 방송사와 첨예한 대립관계에 있는 통신사측 반응은 냉담하다 못해 신경질적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현재 구속기소되어 재판을 받고 있는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이 자신의 사임 일주일을 남기고 기습적인 700MHz 대역 주파수 통신사 분할 할당을 한 상태에서 자신들이 ‘당연히 활용해야 하는 700MHz 대역 주파수를 뉴미디어라는 명분으로 방송사가 활용하면 어쩌나’는 의구심 때문이다.

사실 700MHz 대역 주파수는 원래 방송사 측에서 난시청 해소와 UHD 기술을 위시한 뉴미디어 발전을 위해 활용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 주파수가 통신분야에 모두 몰리게 됨으로서 공공의 방송 서비스는 엄청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지상파 방송사들의 UHD 실험국 개소 소식이 알려지자 통신사 측에서 떨떠름한 표정을 짓는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700MHz 대역 주파수는 통신사의 트래픽 관리를 위한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방통위에서 실험국 승인을 해버리니  ‘혹시 700MHz 대역 주파수를 방송에 할당하려는 것인가’라고 의심하게 된 것이다. 이런 반응은 소위 친통식적 기조로 유명한 언론사에 의해 세세한 분석기사로 나오기도 했다.

또 제조사의 태도도 변수다. 최근 정치권을 강타하고 있는 경제민주화의 이론적 핵심은 바로 ‘부의 배분이 있어야 사회가 살아난다’라는 부분이다. 즉 ‘재원이 돌아야 선순환 구조가 나타난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최소한 이러한 논리는 3D 기술 발전 당시 기술 발전을 위한 투자에는 인색한 모습을 보이며 뒤에서는 3DTV 제조를 통한 사업적 이득을 거둔 제조사들에게는 먹히지 않는다. 그리고 UHD 기술이 뉴미디어 플랫폼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현재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