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통신
홈 IT/통신
아이폰-갤럭시, 대용량 파일 주고받기 가능해져 ...
아이폰에도 차세대 문자 전송 서비스가 도입돼 갤럭시와 대용량 파일 전송 및 채팅 형식의 메시지 주고받기가 가능해진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월 19일 애플에 아이폰에도 기존 문자 메시지를 대체하는 ‘차세대 메시지 전송 서비스(Rich Communication Service, RCS)’를 도입, 이용자...
ETRI, 몰입형 XR 콘텐츠 개발…“눈앞에 스키장‧수족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접목하는 몰입형 확장현실(XR)의 기술개발에 성공했다고 2월 19일 밝혔다.
이번 연구의 주요 기술은 △다중·이형센서기반 상황적응형 인터랙션 프레임워크 △다인칭 사용자 3차원 정밀 동작 분석 기술 △복합공간상 사용자 위치 추정 기술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
네이버 찾은 과방위 “AI 강국 위한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챗GPT, 딥시크 등 AI 산업을 둘러싼 전 세계 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국회가 AI 강국 도약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나서겠다는 내용의 여야 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위원들은 2월 19일 경기도 네이버...
정부, ‘제3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 개최…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박차 ...
딥시크의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발표로 급변하고 있는 세계 AI 시장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제3차 AI컴퓨팅 인프라 특별위원회’를 2월 17일 오후 2시 서울청사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앞서 4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025년 과기정통부...
딥시크,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개인정보 정책 미흡”
“기존 앱 이용자 및 인터넷 이용은 가능”
“개선‧보완 후 국내 서비스 재개 예정”
정부가 과도한 정보수집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딥시크의 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을 결정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월 17일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의 국내 서비스가 15일 오후 6시부터...
과기정통부, AI 통한 방송 산업 혁신 추진 ...
챗GPT에 이어 딥시크까지 글로벌 AI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AI를 기반으로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지원 사업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하 KCA)은 콘텐츠 제작에 AI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2025년 인공지능·디지털 기반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갤럭시 S25 체험 공간 ‘갤럭시 스튜디오’ 누적 방문객 30만 명 돌파
삼성전자가 ‘갤럭시 S25 시리즈’의 체험 공간인 ‘갤럭시 스튜디오’가 약 3주 만에 누적 방문객 30만 명을 돌파했다고 2월 17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1월 23일부터 △영등포 타임스퀘어(2월 23일 운영 종료) △코엑스(2월 23일 운영 종료) △삼성 스토어 홍대(상시...
ETRI, 메타버스·멀티미디어 응용서 11석 의장단 확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월 13일부터 24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ITU-T 산하 스터디그룹(SG) 21, 즉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송 및 케이블 TV와 관련된 회의에 참가해 총 11석의 의장단에 진출했다고 2월 13일 밝혔다.
이번 국제표준화회의에서 주요 성과는 메타버스 작업반...
방통위,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개정안’ 의결 ...
방송통신위원회는 모바일 전자고지, 마이데이터 등의 서비스를 지속해서 제공하도록 하고,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사업자의 불법정보 유통방지를 의무화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2월 12일 ‘2025년 제2차 전체회의’를 열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딥페이크 불법 영상물 시정요구 1년 사이 3.2배 급증 ...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에 대한 2024년 시정요구 건수(23,107건)가 2023년(7,187건) 대비 약 3.2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월 12일 밝혔다.
1년 사이 시정요구 건수가 급증한 것을 두고 방심위는 “텔레그램과의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생성형 AI 기술을 악용한 딥페이크...
LG유플러스, 진화하는 스미싱 범죄에 ‘AI 분석 솔루션’ 구축 ...
LG유플러스는 악성 애플리케이션 주소(URL)를 변조해 공공기관이나 통신사의 접속 차단 조치를 우회하는 스미싱 범행을 막기 위해 ‘AI 악성 앱 분석 솔루션’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고 2월 11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해당 솔루션을 본격적으로 가동한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KT “불법 스팸, 뿌리부터 뽑는다”…최초 발송자 차단 정책 시행 ...
KT는 스팸 문자 최초 발송자를 차단하는 핀셋 제재 정책을 업계에서 가장 먼저 시행한다고 2월 11일 밝혔다.
일반적인 스팸 제재 정책은 KT를 비롯한 문자중계사업자와 계약 관계에 있는 문자재판매사업자의 스팸 유통량을 관리하는 형태이다. 스팸 문자 발송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