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술저널=곽재옥) 지상파방송이 당면한 수많은 현안은 사안과 사안이 연쇄적으로 뒤얽혀 시원스럽게 실타래를 풀어낼 수 없는 구조라는 데 문제가 있다.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방송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구축과 위기를 맞은 재정난 극복이 선결과제지만 정작 인프라와 재정난을 해결하려 들면 추락한 공공성에 발목을 잡혀 헤어나지 못하는 형국이다.
지상파 방송이 주장하고 있는 700MHz 주파수, 지상파 MMS, 중간광고, 수신료, 지상파 재송신료 등은 공공재로서 방송의 역할수행에 궁극적 목적이 있다. 그러나 지상파방송이 무료 보편적 전국방송과 UHD방송 실현을 위해 주파수나 MMS를 확보하려 하면 낮은 직접수신율과 콘텐츠의 양적·질적 한계를 지적하고 나온다. 그래서 콘텐츠 경쟁력 확보를 위해 중간광고, 수신료, 재송신료 인상 등 재원대책을 내놓아도 동일한 문제에 부닥치고 만다.
지금 지상파의 위기는 단지 내부적 문제가 가지고온 결과만은 아니다. 변화하는 방송환경이 다양한 갈등구조를 양산시켰고, 그러한 갈등구조가 입법부와 규제기관까지 파급을 미쳐 총체적 난관에 봉착하고 만 것이다. ‘공공성 실추’를 이야기함에 있어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은 ‘저널리즘의 위기’. 더욱 큰 문제는 저널리즘의 발을 묶은 정책결정자들이 공공성 회복을 위해 추진돼야 할 다양한 정책 결정자들과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이는 인기드라마 <미생>에 나왔던 명대사처럼 “판을 바꾸는” 방법이 아니고서는 풀 수 없는 문제다. 그렇다면 사방이 막힌 상황에서 지상파방송은 과연 공공성 회복을 위해 어떤 자구책을 취해야 하는가. 이런 질문을 하면 여느 전문가도 명쾌한 답을 내놓지 못한다. 그도 그럴 것이 원인과 결과가 동일한 ‘네버엔딩 스토리’의 종지부는 애초부터 찍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고심 끝에 내놓는 답은 결국 하나다.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달라”는 것. 지상파방송의 최대 장점인 직접수신의 방법을 홍보하고 어려운 기술적 사안은 쉽게 풀어서 이해시키는 일, 올해 지상파방송과 그 속에 있는 방송기술인들이 해야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