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미디어 육성계획안’에 방송업계 ‘갸우뚱’

‘스마트미디어 육성계획안’에 방송업계 ‘갸우뚱’

847

오는 2020년까지 스마트미디어 시장을 약 14조 원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 발표됐다. 하지만 정부 주도의 한국형 콘텐츠 플랫폼 구축에 대한 방송업계의 입장은 회의적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스마트미디어 산업 육성 계획’ 공청회를 지난 10월 15일 국립과천과학관 상상홀에서 열었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발표된 ‘방송산업발전 종합계획’ 실현의 일환으로, 이 자리에서는 기술·산업·법제 등 관련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 연구반이 올해 3월부터 진행해 온 스마트미디어 산업에 대한 세부 육성안이 발표됐다.

발표에 나선 김진형 미래부 디지털방송정책과 과장은 “방송산업은 방송의 스마트화를 통해 광고시장 정체로 인한 성장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면서 “국내 ICT 분야는 한류 콘텐츠와 이와 연계된 각종 부가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으로 국내 시장 활성화와 해외 진출을 촉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계획안에 따르면, 정부의 스마트미디어 산업 육성과 R&D가 추진되면 2014년 현재 2조 7,000억 원 정도인 스마트미디어 시장이 2020년까지 13조 8,000억 원 수준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스마트미디어 산업 전체로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약 84조 2,000억 원의 생산유발효과를 발생시키고, 고용 측면에서는 산업 전체에 약 10만 9,000명 정도의 고용유발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아울러 이를 위한 실질적 전략으로는 △글로벌 벤처 육성 △상생·개방의 건강한 생태계 조성 △차세대 성장 기반 강화(스마트미디어 플랫폼 및 기반기술 개발, 스마트미디어 창의인재 양성, 스마트광고·디지털사이니지 산업 육성, 실감미디어 연구개발 및 활성화 지원,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스마트홈 산업 육성) △제도 기반 확립 등 4대 추진과제가 제시됐다.

그러나 이날 미래부 계획에 대한 방송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은 다소 상이했다. 유튜브(Youtube)나 넷플릭스(Netflix)와 같이 세계시장에서 한류 콘텐츠를 전파할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방송사업자를 제치고 정부 주도로 플랫폼을 구축하고 글로벌 벤처를 육성한다면 계획에는 무리가 있다는 입장이다.

<PD저널>에 따르면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이상술 MBC 매체전략부장은 “미래부의 스마트 미디어 산업 발전 계획안은 2010년 방송통신위원회가 마련한 3D 방송발전전략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면서 “방통위도 당시에는 TV가 흑백에서 컬러로 전환되는 것에 비견할 정도로 비약적인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지만 여기에 투입된 8,000억 원이 어디에 쓰였는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

또한 IPTV업계를 대표해 참석한 정원조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부장은 “IPTV사업자들도 그동안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는데 계획안을 보면 유료방송 자체가 올드 미디어로 인식될 수 있다”면서 “기존의 방송사업자들과 연계해 사업을 추진하는 영역이 많아졌으면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미래부는 국내 주요 스마트미디어 플랫폼과 기반기술 연구개발(R&D)을 위해 오는 2020년까지 총 2071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스마트미디어 세계시장은 2013년 723억 달러에서 연평균 29%의 고성장세로 2020년에는 4,4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날 공청회 계획안은 수정·보완 작업을 거쳐 12월 최종 확정·발표될 계획이다.

 

<참고> 스마트미디어 : 언제 어디서나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상황과 환경에 맞게 지능적이고 다양하게 가공해 전달하는 매체’를 가리킨다. OTT(Over The Top:범용 인터넷망을 활용해 동영상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비스), 디지털사이니지(포스터·간판·현수막 등 기존 옥외광고를 네트워크로 연결해 관격 관리하며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보와 광고를 양방향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실감미디어(시간·공간적 제약 없이 몰입감과 현장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오감정보와 감성정보를 인간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스마트홈(가정 내에서 가정 기기 제어, 에너지 관리, 보안, 미디어·엔터테인먼트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