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제2의 헬기 매각 ‘송신소 무인화’ 일방 추진 논란 ...

KBS, 제2의 헬기 매각 ‘송신소 무인화’ 일방 추진 논란
언론노조 “송신소 무인화로 인한 대형 사고 누가 책임질 것인가”

70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KBS 사측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수도권 직할 송신소 통합 송출센터 구축 계획이 제2의 헬기 매각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앞서 KBS 방송기술인협회는 지난 10월 사측이 남산, 소래, 화성 등 수도권 직할 송신소 통합 송출센터 구축 계획을 내부 구성원 논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 방송네트워크‧방송인프라‧제작기술 1,2구역 역시 성명을 통해 “지난 4월 송신소 무인화 소문이 돌 때 강력하게 추진 중단을 요구했는데 당시 사측은 논의만 하는 것일 뿐 결정된 것이 없다 했는데 모두가 잊고 있는 사이 어떠한 의견 수렴도 없이 송신소 무인화를 단숨에 결정해버렸다”고 비판했다.

언론노조 KBS본부 방송네트워크·방송인프라·제작기술1·2구역은 11월 21일 성명을 통해 지난주 면담 자리에서 사측이 내부 구성원들이 제기한 정당한 문제를 폄훼하며 독단적인 태도로 일관했다고 밝혔다.

언론노조에 따르면 사측은 남산송신소 직원들과의 면담에서도 “송신소 무인화는 사실상 지상파 무중단 서비스를 포기하는 것”이라는 직원들의 반대 의사를 무시하며 강행 의지를 밝혔다.

언론노조 관계자는 “사측은 주간에 정비 인력이 상주하니 이는 무인화가 아니며, 그 자체로 충분하고 오히려 송신소 인력 통합을 통해 정비 인력이 늘어나 안정성이 강화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현장에서 초동 조치로 수많은 대형 사고를 막아온 관제·현장 근무자들의 역할을 단지 모니터링 인력으로 폄하하며, 업무의 실체를 왜곡하는 주장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언론노조는 최근 지역 무인 송신소에서 발생한 70분 정파 사고를 예로 들었다. 언론노조는 “무인화 정책이 갖는 구조적 한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건”이라며 “총국 송신센터는 장애 당시 원격으로 어떤 조치도 취할 수 없었고, 결국 야간 시간에 정비 인력이 출동해 안테나 절체, 급전선 점검, 송신기 재기동을 직접 수행해야 했다. 이는 송신 업무를 관제와 정비로 나눠서 운영하는 방식의 한계를 드러낸 것이며, 현장 인력 없는 사후 조치만으로는 정파 시간이 대폭 늘어나며, 시청자들에게 24시간 무중단 서비스를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언론노조는 송신소 무인화 추진이 앞서 사측이 시행한 헬기 매각 과정과 비슷하다고 주장했다. 언론노조는 “결국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하다 실패로 돌아가지 않았느냐”면서 “송신소 무인화는 단순 기술 문제가 아니라 공영방송이 시청자에게 제공해야 할 무중단 송출이라는 공적 책무를 구조적으로 약화시키는 결정이며, 지상파 방송 서비스 기반을 흔드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