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vs IPTV vs 케이블

IPTV vs IPTV vs 케이블

525

현 정부의 유료 방송 지원 정책 기조와 맞물려 IPTV와 케이블의 경쟁도 절정을 향해 치닫고 있다. 특히 IPTV 3사의 경쟁은 물론, 이에 대항하는 케이블의 노력도 사활을 거는 분위기다.

   
 

IPTV 업계 1위인 KT는 올 초 스마트 TV 없이도 셋톱박스를 이용해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올레TV 스마트팩’을 출시하며 유료 방송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본 상품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OS를 TV에 최적화시켜 TV에서도 구글 플레이스토어의 구글 서비스와 다양한 안드로이드 앱을 다운받아 스마트폰처럼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무선 마우스와 키보드를 추가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양방향 스마트 서비스에 필수적인 문자 입력, 커서 이동 등에서 느끼는 불편을 해소한 부분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에서 커다란 발전으로 꼽힌다.

SK 브로드밴드는 ‘엔터테인먼트’에 특화시킨 서비스를 통해 가입자를 적극 유치하겠다는 복안이다. 최근 SK 브로드밴드는 다양한 앱은 물론 콘솔게임기에서나 가능했던 고사양 비디오 게임을 B tv에서 구현한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를 선보이며 공격적인 시장 점유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내보였다. 클라우드 스트리밍 서비스는 고성능 서버에서 게임, 앱 등을 실행한 후 출력 화면을 셋톱박스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서비스이며 셋톱박스는 일부 기능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셋톱박스를 바꾸지 않고도 스마트 IP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맞서는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U+tv G에 국내 최초 풀HD 서비스를 시작한 데 이어, 5월 29일 전 세계 유료방송 사업자 중 처음으로 4채널 서비스도 선보였다. 이에 LG유플러스는 먼저 지상파 방송과 스포츠, 홈쇼핑 등 이용자들의 동시 시청 요구가 높은 12개 채널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추후 영화·애니메이션·뉴스 채널 등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해당 서비스가 대중적인 인기를 모으며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많은 전문가들이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이 와중에 모바일 IPTV를 둘러싼 3사의 경쟁도 가열되고 있다. 기존 통신사의 모바일 수익구조가 음성통화 중심의 서비스 구조에서 벗어나 데이터 활용을 야기시키는 동영상 서비스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됨에 따라 모바일 IPTV가 블루오션으로 급성장했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이동통신 LTE 가입자 수가 2,000만 명을 넘어가며 통신 3사 모바일 IPTV 이용자 수도 500만 정도로 예상되기 때문에 해당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3사의 노력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물론 통신 3사의 이러한 노력은 데이터 트래픽 증가로 인한 주파수 수요의 증가, 그리고 이에 따른 타 영역의 주파수 할당 논란으로 번지면서 통신사 전체에 대한 비난으로 번질 가능성도 높다.

특히 700MHz 대역 주파수 할당 문제에 있어서, 통신사들이 가입자들을 끌어 모으기 위해 모바일 IPTV를 활용한 동영상 서비스를 강화하면 당연히 모바일 트래픽이 증가하고, 동시에 통신사들의 수익은 극대화된다. 하지만 이를 이유로 난시청 해소 및 UHDTV 발전에 활용되어야 하는 700MHz 대역 방송용 필수 주파수를 통신에 할당하게 된다면 미디어의 공공성은 여지없이 무너지고 만다. 통신 3사의 모바일 IPTV 전략이 마냥 달갑지 않은 이유다. 여기에 모바일 IPTV는 법제상의 문제도 돌발변수로 꼽힌다.

한편, IPTV에 맞서는 유료 방송 산업의 양대 산맥인 케이블의 행보도 발빠르다. 당장 CJ 헬로비전도 올해 하반기 클라우드 방식의 스마트 케이블 서비스를 시작하며 스마트 케이블 표준으로 급부상한 HTML5를 적용한 스마트 케이블 서비스도 내년 하반기에 정식으로 론칭할 계획이다. 티브로드도 지난 4월 개인 맞춤형 스마트 TV 형태로 사용자 환경을 개편했으며, TV를 켜면 화면 상단에 이용자가 살고 있는 지역의 날씨 정보가 뜨는 UI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 이용자가 구매했던 주문형 비디오(VOD) 내역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를 분석해 이용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도 추천해주는 서비스도 마련한다.

동시에 케이블을 중심으로 “IPTV와 동일한 수평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CJ 특별법으로 불리는 케이블 권역별 가입자 제한 및 기타 매출 제한 등, IPTV에 비해 과도한 법적 규제를 받고 있다는 불만이 직접적으로 표출되는 상황이다. 주로 대형 케이블 SO를 중심으로 제기되는 이러한 건의사항은 케이블이 IPTV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사업자이기 때문에 동일 ′서비스 동일 규제 원칙′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제로 하며, 현재 법 규정상 특정 케이블은 전체 케이블 가입자의 3분의 1을 초과할 수 없게 돼 있는 점을 철폐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