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S 때문에 죽겠다던 유료 방송 플랫폼의 ‘비상’

CPS 때문에 죽겠다던 유료 방송 플랫폼의 ‘비상’

895

최근 유료 방송 플랫폼 사업자들이 지상파 의무재송신 확대 및 재송신료 인하를 요구하며 공동전선을 꾸린 것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며 그 어느 때보다 막강한 정부의 지원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이는 유료 방송 사업자들이 갑자기 공동전선을 펴고 지상파 방송사를 압박한 배경에 관심이 쏠렸기 때문이다.

동시에 일각에서는 자신들의 황금기를 눈앞에 두고 마지막 남은 ‘이득’마저 확실하게 챙기겠다는 일반기업 특유의 정서가 이번 유료 방송 플랫폼 사업자 공동전선의 본질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새로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공공연하게 방송 사업의 육성을 통한 창조경제 실현을 강조해왔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의 핵심에는 유료 방송이 있다. 즉, 신설되는 미래창조과학부의 동력을 극대화시켜 유료 방송 산업 패러다임을 한 단계 끌어올리겠다고 천명한 셈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자연스럽게 KT와 CJ의 주가가 급부상하고 있다.

   
 

우선 KT는 지난 정부에서 결론을 내리지 못한 DCS의 허용에 잔뜩 기대를 걸고 있다.(물론 방통위는 최종적으로 DCS에 대한 전향적인 결정을 이미 내렸다) 동시에 KT는 DCS 허용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플랫폼 점유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IPTV는 물론 인터넷망, 회선, 여기에 위성방송까지 보유한 KT가 명실상부 최강의 플랫폼 기업으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게다가 케이블과 달리 IPTV 규제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편이다. 그런 이유로 KT는 DCS만 허용된다면 복합 플랫폼 서비스를 더욱 고착화시켜 유료 방송 시장의 패권을 손쉽게 장악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고려한다고 해도, KT는 DCS가 허용되기 전에도 이론상으로는 대한민국 미디어 플랫폼 시장의 100%를 장악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다고 평가받는다.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 성장하려는 KT의 야망이 박근혜 정부의 지원아래 코앞에 다가온 셈이다.

이에 맞서는 거대 미디어 그룹인 CJ도 박근혜 정부의 수혜를 통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SO과 PP를 모두 보유하고 있는 CJ가 오랫동안 유료 방송 시장의 지배자로 군림해온 내공을 끌어올려 박근혜 정부의 유료 방송 시장 활성화 방안에 제대로 녹아든다면, 그 시너지 효과는 엄청날 것으로 보인다. 물론 N-스크린 서비스 분야에서 절대강자로 군림하는 ‘티빙’까지 더하면 그 영향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그렇기 때문에 거대 미디어 그룹인 CJ는 박근혜 정부가 케이블 규제를 철폐해 주기만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즉, 지난 정부에서 좌초되었던 일명 ‘CJ 특별법’이 다시 부활하길 바란다는 뜻이다. 사실 CJ 입장에서 SO 권역별 규제 제한 철폐와 PP 매출점유율 규제 철폐를 골자로 하는 CJ 특별법은 반드시 필요한 법이었다. 그러나 군소 SO 및 PP의 반대가 막심한데다 야당 및 시민사회단체, 여기에 종합편성채널의 견제까지 이어지며 결국 해당 법안은 좌절되고 말았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가 유료 방송 사업자 육성 방안을 공식적으로 천명하며 CJ 특별법의 재등장이 초읽기에 들어가자 CJ는 잔뜩 고무된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