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메타버스 주제로 KOC 2021 개최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메타버스 주제로 KOC 2021 개최

955

변철호 회장 “메타버스 왜 주목해야 하는지 해답 찾길”
오용수 방송진흥정책관 “아직 실체 없는 메타버스, 생태계‧참여자 중요”
신동흔 “메타버스는 새로운 시공간 복합체”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와 방송기술교육원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 가장 핫한 이슈인 메타버스를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기술인연합회와 방송기술교육원은 11월 4일 서울 목동 한국방송회관 3층 회견장에서 ‘이미 와 있는 미래 메타버스’를 주제로 KOC(Kobeta Conference) 2021를 개최했다. KOC는 기술 발전에 따른 다양한 사회 변화를 ‘콕(KOC)’하고 가볍게 찍어낸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비영리 컨퍼런스로 올해 8회째를 맞았다.

변철호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회장

변철호 기술인연합회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코로나19가 가져온 가장 큰 변화는 비대면 확산으로 온라인 활동이 많아졌다는 것”이라며 KOC 2021의 주제로 왜 메타버스를 선정했는지 설명했다. 변철호 회장은 “메타버스는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세상으로 게임부터 시작해 이제는 교육, 경제, 문화 전반으로 확장해가고 있다”며 “데이터 패권을 쥐기 위한 기업들의 전쟁터가 돼 버린 ‘메타버스’를 왜 주목해야 하는지 그에 대한 해답을 KOC 2021에서 찾아보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오용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진흥정책관

축사를 맡은 오용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진흥정책관은 “먼저 KOC 2021를 대면으로 치르게 된 걸 축하한다”며 “과기정통부에서도 차세대 미디어 주간을 정해 7년 동안 3D, UHD,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등 미래 변화를 진단하고 있는데 같은 시기 기술인연합회에서도 이런 행사를 주최해 감사하다”고 말문을 열었다. 오용수 방송진흥정책관은 “메타버스는 신사업으로 이미 와 버렸음에도 아직 실체가 없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라며 “메타버스가 어떤 미래를 구현할지는 생태계도 중요하고, 참여자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동흔 조선일보 기자

KOC 2021의 첫 문은 신동흔 조선일보 기자가 열었다. 신 기자는 “메타버스는 더 이상 미래가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강연을 시작했다. 그는 “작년 10월 영국 이코노미스트에서 ‘메타버스가 왔다’고 기사를 냈는데 1년 사이 초등학생인 제 아들이 로블록스를 알고 로블록스의 서가 터진 걸 기자인 아빠보다 먼저 아는 세상이 됐다”며 “오늘 주제인 ‘이미 와 버린 미래’라는 표현이 딱 맞는 세상이 됐다”고 말했다.

신 기자는 ‘모스에서 잡스, 그리고 메타버스’라는 그의 강연 주제에 맞게 정보통신기술(ICT)이 어떻게 발전했는지 짚으면서 “정보통신기기는 등장 순간부터 시간 관념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고, 메타버스는 그 연장으로 ICT가 만들어낸 새로운 시공간 복합체”라고 정의했다. 이어 “사람들이 실제와 가상의 구분을 못 느낀다는 것이 기술적인 부분일 수도 있지만 어떤 사람은 메타버스 속의 정체성을 더 선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며 “우리가 요즘 방송 출연자의 ‘부캐’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처럼 그 사람에게는 가상이 오히려 더 정체성이 반영된 현실일 수 있다”고 부연했다.

그렇다면 초등학생들이 열광하는 메타버스를 애들 장난으로만 볼 수 있을 것인가. 신 기자는 메타버스에 대한 정의를 내린 뒤 우리가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한번 고민해보자고 했다. 신 기자는 “테크놀로지가 새롭게 나오면 첫 콘텐츠들은 버려진다”며 “초창기 전화회사에서는 야구중계를 하는 등 콘텐츠를 만들기도 했지만 결국은 망했다. 스티븐잡스가 ‘폰을 재발명했다’고 했는데 그 표현이 매우 정확한 것으로 사실상 그 시장에 두 번째로 들어오는 업체들이 성장하는데 메타버스 시장도 이렇게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타버스의 가능성이 무궁하다는 것으로 신 기자는 “메타버스가 또 어떤 미래로 데려갈지 기대된다”면서 강의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