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6G 기술.표준 확보에 2200억 원 투자 ...

과기정통부, 6G 기술.표준 확보에 2200억 원 투자
‘6세대(6G) 연구개발(R&D) 실행계획’ 수립

850

[방송기술저널 백선하 기자] 정부가 6G 시장 선점을 위해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6월 23일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다가올 6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민‧관 합동 ‘6세대(6G) 전략회의’를 개최하고 ‘6G 연구개발(R&D) 실행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6G에 대한 미래지향적 동반관계를 구축하고 공동연구 등 협력을 확대키로 했다. 이동통신은 통산 10년 주기로 전환된다. 이를 고려할 때 6G 상용화는 오는 2028년~2030년 사이로 예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은 디지털 대전환뿐 아니라 미래 신산업의 성장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로서 국제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 선제적인 기술개발 착수와 국제표준 선점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미국과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도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패권 경쟁에 돌입한 상황이다. 미국은 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계획국(DARPA) 주도 장기 연구개발에 착수한 이후 최근 주요 우방국과 6세대 기술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으며, 중국도 지난 2019년 6세대 전담기구 출범했고, 일본도 지난해 민관 합동 ’5세대 이후 연합체(Beyond 5G 컨소시엄)‘을 구성‧운영 중이다.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날 전략회의에서는 양국 간 6세대 분야 공동연구 등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됐다. 이와 관련해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미 국립과학재단(NSF) 간 공동연구협력 업무협약이 체결됐으며 올해부터 양국 간 6세대 분야 공동연구를 본격 추진키로 했다. 이어진 회의에서는 ‘6세대 연구개발 실행계획’과 6세대 국제표준 선도 방안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6세대 연구개발 실행계획’에는 △차세대 핵심 원천 기술 확보 △국제표준·특허 선점 △연구·산업 기반조성에 대한 세부 실행 계획이 담겼다.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기정통부는 우선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 당장 민간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대 중점 분야 10대 전략 기술에 오는 2025년까지 총 2천억 원, 2021년 기준 총 179억원(12개 과제)을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6세대 시대에는 이동 중인 비행체(플라잉카, 드론 등)와 해상·재난지역 등에서도 Gbps급 통신 이용이 가능하도록 위성망‧지상망의 통합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위성‧지상 간 통합 접속기술을 개발하고 2031년까지 총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의 이행도 병행해 추진된다.

국제표준화와 관련해서는 우리나라에서 국제표준화기구(ITU) 6세대 비전그룹 작업 의장 및 3GPP RAN1(물리계층) 의장에 진출한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국제표준 선도를 위해 표준화의 밑그림 격인 6세대 비전 정립단계부터 우리나라가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담았다.

또한, 특허청과 협력해 선정한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6세대 핵심기술에 대해서는 올해부터 연구개발 자금과 특허 확보 전략지도(맵)를 묶음(패키지)으로 지원하고 2022년도 패키지 지원을 위한 기술 분야도 추가로 선정해 사전에 전략지도를 구축키로 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올해 3개 대학 내 6세대 연구센터를 지정·운영하면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하고,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국내 대학·연구소가 공동으로 연구개발에 참여하는 형태를 확대해 실무인력의 6세대 역량 강화도 촉진키로 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디지털 혁신의 근간인 만큼 네트워크 분야에서 우리가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6세대 시대에도 국제 시장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민간과 정부가 함께 과감하고 도전적인 역할을 해나가자”고 당부한 뒤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협력 기반이 잘 마련된 만큼 이를 잘 활용해 6세대 준비 초기 단계부터 국제 협업을 추진하고, 향후 관계부처, 대‧중소기업과도 긴밀히 협력해 우리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고 디지털 강국의 위상을 더욱 높여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