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파업과 박근혜 위원장

[솎아보기] MBC 파업과 박근혜 위원장

653

방송사 파업이 장기화되는 현재, 19대 총선이 여당의 승리로 끝나면서 공정방송을 위한 투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동시에 자연스럽게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의 역할론이 부상하고 있지만 그는 아직 사태 수습을 위한 의미있는 제스처를 취하지 않고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미디어스]는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와의 인터뷰를 통해 박근혜 위원장이 방송사 파업 해결에 반드시 나서야 하는 이유를 제시해 눈길을 끌고있다. 한 마디로 ‘결자해지’의 자세로 ‘언론장악의 원죄’를 털고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정수장학회’의 근본적인 태생에서 시작된다.

 

정수장학회의 전신은 ‘부일장학회’다. 부산의 기업인이던 고 김지태 삼화고무 사장이 설립했으며 당시 부일장학회는 10만여평의 땅과 부산문화방송(현 부산 MBC), 한국문화방송(현 MBC) 등의 언론사 지분을 가진 거대 장학회였다. 하지만 5.16 쿠데타 이후 군부의 핵심이던 중앙정보부가 부일장학회를 국가에 강제로 헌납하게 했고 이름도 ‘5.16장학회’로 바꾸게 된다. 그러던 것이 전두환 정권 시절, 다시 ‘정수장학회’로 바뀌었으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박근혜 위원장은 재단 이사장직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박정희 정권 시절 외교관이자 ‘마지막 비서관’으로 유명한 최필립씨가 이사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처음 부일장학회가 5.16장학회로 바뀌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한 교수는 [미디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1960년 3.15 부정선거 당시 부산 MBC가 정부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시민들의 시위를 보도했는데 당시 부산에 있던 박정희 전 대통령이 군수기지사령관으로 재직하면서 언론의 위력을 실감한 것”이라며 “정권 장악을 위해 언론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고 전했다. 즉, 부일장학회 헌납 사건이 익히 알려진대로 박정희-김지태의 원한 때문이 아니라 ‘언론 장악’을 염두에 둔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의중이라는 것이다.

다시 현재로 돌아와보자. 총선에서 수많은 악재를 극복하며 압승한 박근혜 위원장은 방송사 파업에 대해 그 어떤 해결의지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방송사 사측은 물론 이계철 방통위원장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부산일보 파업이 장기화되고 부일장학회가 지분을 가지고 있던 MBC(전두환 전 대통령은 쿠데타 후 MBC 지분의 30%를 정수장학회에, 70%를 KBS에 주었다가 훗날 그 70%의 지분으로 방송문화진흥회를 만들었다) 파업이 장기화 되는 지금, ‘박정희 전 대통령 언론 장악’의 부산물로 생겨난 정수장학회와 지금까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박근혜 위원장은(본인은 부정하지만) 그 원죄로 말미암아 현재의 파업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을 내놓아야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고 있다. 즉 지금 일어나고 있는 부산일보 및 MBC 파업에 대한 박근혜 위원장의 의미있는 처신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는 ‘커다란 꿈’을 꾸고있는 박근혜 위원장에게 있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필수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