쑤세미 (컬처라인 문화메신저)
이름 둘리, 주민등록번호 830422-1185600, 주소는 부천시 원미구 상1동 412-3번지.
‘아기공룡 둘리’는 만화가 김수정이 1983년 4월 전설의 만화잡지 보물섬에 연재를 시작한 작품이다. 녹색공룡 케라토사우르스 둘리는 얼음별의 엄마와 헤어져 지구로 왔으며 서울시 쌍문동 고길동의 집에 기거하게 된다. 영희와 철수 남매의 친구가 되고 고길동의 조카 희동이와도 잘 지내지만 고길동은 이상한 생물체 둘리를 영 마음에 들어 하지 않는다. 거기다 군식구인 암컷 타조 또치와 깐따삐아 별의 외계인 도우너까지 합세해 고길동의 스트레스는 이만저만이 아니다. 고길동은 얹혀사는 주제에 말대꾸는 기본이고 온갖 초능력으로 말썽을 부리는 이들을 내쫓는 궁리를 하지만 매번 되려 당하기만 한다. 둘리가 도우너의 시간여행 바이올린인 타임코스모스를 타고 친구들과 온갖 모험을 하게 되는 이 경쾌한 만화는 지금도 대한민국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제일 사랑받고 있는 만화 중 하나다.
그런 둘리가 ‘공룡 둘리’로 재탄생 됐다. ‘공룡 둘리’는 2003년 5월 영점프에 실린 최규석의 작품으로 이듬해 발행된 그의 단편집〈공룡 둘리에 대한 슬픈 오마주〉에 수록되어 있다. 2003년은 아기공룡 둘리의 탄생 20주년이 되던 해로 만화의 도시 부천에서 둘리의 주민등록증을 발급하고 둘리의 거리를 만드는 등 축제 분위기였다. 그런 가운데 홀연히 갓 대학을 졸업한 청년의 발칙한 작품 ‘공룡 둘리’가 나온 것이다. 최규석의 단편에 실린 김수정의 추천사에는 “다음에 또 누군가가 둘리를 그리겠다고 한다면 나는 단호히 거절할 것이다. 최규석 씨의 공룡 둘리는 단 한 번의 예외다”라고 적혀있다. 추천사의 행간을 읽으며 ‘상상하지 못하는 작가는 작가가 아니며 최규석의 상상력과 용기를 격려’하면서도 자신의 둘리가 깡 소주를 든 둘리로 성장해 나타나자 무척 당황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
최규석의 ‘공룡 둘리’는 20년의 세월을 훌쩍 뛰어넘어 매일 싸움질을 하는 희동이의 합의금 때문에 도우너를 외계인 실험 박사에게 천사백만 원의 돈을 받고 넘겨주는 철수의 모습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주민등록증도 없이 일하는 외계인 노동자 둘리는 프레스기계에 손가락이 잘리는 사고를 당하고는 공장에서 해고된다. 도우너가 잡혀갈 때 손가락으로 ‘호이!’하며 외쳐보지만 초능력도 못 쓰는 처지가 됐다. 곧 해부될 위기에 놓인 도우너를 구하기 위해 백방으로 쫓아다니지만 모두들 냉담한 반응이다. 길동이 아저씨는 도우너의 사탕발림으로 집을 날리고 빚더미에 앉은 후 화병으로 죽는다. 또치는 동물원에서 몸을 팔며 근근이 생활해 나가고 그나마 둘리와 포장마차에서 쓴 소주 한 잔 하는 마이콜은 밤무대 삼류가수 신세를 못 벗어나고 있다. 또치는 도우너를 구하러 가자는 둘리에게 이렇게 외친다. “둘리야! 이제 제발 네 걱정만 하고 살아! 더 이상 명랑만화가 아니잖니.”
그렇게 낡은 작업복에 목장갑, 이 사회의 부적격자 이방인 둘리는 아옹다옹했어도 가장 애증의 관계가 돈독했던 길동의 무덤을 찾아 ‘빙하기’를 맞으며 잠든다.
‘아기공룡 둘리’가 나왔을 때는 바야흐로 5공화국 시절이다. 만화가 김수정이 둘리를 그릴 당시는 버르장머리 없는 아이를 용납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아니었다. 자연, 심의를 걱정하게 된 그는 7살의 장난꾸러기 남자 아이를 공룡으로 바꿔 둘리로 탄생하게 한다. 아기 공룡이 어른 고길동에게 대들어야 하는 캐릭터니까, 수천만 년 전에 멸종한 공룡으로 설정하는 등 그 배경에도 작가는 심사숙고를 했다고 한다. 아, 버릇없는 빵꾸똥꾸 해리도 방송통신위원회의 심의를 받았으니 요즘도 별반 다르지 않나보다.
세월이 흘러 작가 최규석이 ‘공룡 둘리’를 그렸던 해에도 국가보안법은 있었고 노동자들의 삶 또한 여전했다. 사람들은 명랑만화를 보고 웃었지만 삶은 명랑하지 못했다. 전 국민이 월드컵에 열광했을 때 여중생 장갑차 압사사건이 일어났던 것처럼, 명랑한 삶 속에 감춰진 처절한 현실을 작가는 놀라운 성찰로 그려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