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편 등장 … 지역매체, 종교방송 등 심각한 타격

종편 등장 … 지역매체, 종교방송 등 심각한 타격

679

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매일경제 등 4개의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이 등장함에 따라 지역매체, 종교방송, 단일 프로그램공급사업자(PP) 등이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최문순 민주당 의원은 지난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종편특혜저지와 지역방송 생존권 보장을 위한 긴급토론회’에서 ‘종편PP 도입이 각 방송사업자에게 미칠 영향’을 자체 조사한 결과 콘텐츠 경쟁력이 낮은 지역방송과 종교방송 등 취약 매체의 경우에는 광고시장을 잠식당하고, 민영미디어렙의 도입에서 제대로 된 지원방안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 의원은 이어 지상파계열의 PP와 CJ 등 대형 PP는 기존 총 매출의 10~15% 정도 하락하고, 소규모 단일 PP는 50% 이상 하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의원은 종편의 초기 시청률을 0.1~0.3% 정도로 예상하면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1개사 당 약 360억원 정도의 광고수익을 낼 것이고, 4개사가 연간 가져가는 광고 수익은 약 1440억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제는 제한된 광고 시장의 규모다. 최 의원 역시 “총광고비는 GDP와 정비례하기 때문에 광고규제완화를 한다고 해서 광고의 총량이 늘어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2009년 광고시장은 약 7조 2560억으로 경제성장률보다 낮은 6.9%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TV 광고의 경우에는 2004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로 장기 침체기에 들어갔다. 결국 제한된 광고시장은 현재보다 더 치열해 질 수밖에 없고,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낮은 지역매체, 종교방송, 단일 PP 등의 기존 광고물량이 적어질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는 결국 종편의 등장은 광고비의 총량을 증가시키기보다는 기존 시장을 잠식할 것이기 때문에 낮은 경쟁력의 지역매체, 종교방송, 단일 PP 등에 심각한 피해를 끼칠 것이란 분석이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최동호 광주방송 정책심의부 차장은 “5년 전에는 광고매출이 2천억원 정도였는데 지난해에는 1500억원에 그쳤다”며 “오락 프로그램으로 시청률 승부를 걸 것으로 예상되는 종편이 출범하면 지금도 어려운 지역방송은 몰락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새로운 제도를 도입한다고 해도 광고 총량은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방송 광고물량의 일부만 종편으로 움직여도 지역방송이 받는 타격은 대단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낙곤 광주MBC 기자 역시 “지역에서는 (경영 등을 생각하면) 공공성만을 주장하기 어려워졌다”며 “종편이 마구잡이식으로 지역방송생태계를 교란한다면 그나마 남아 있던 지역공공성마저 완전히 무너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신현준 KNN 서울지사 차장은 지역방송 생존을 위한 법률적․제도적 보장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신 차장은 “지역민방을 위해선 매출보장제, 연계판매 유지, 중간광고․광고총량제 도입에 따른 혜택 등이 필요하다”며 “광고수익에 대한 안전장치 없이는 지역민을 위한 보도나 제작은 줄어들 수밖에 없으며, 이는 지역방송이 단순한 수중계소로 전락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도 “지역방송은 지역 특유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를 상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수도권 지역의 집중 발전에만 매진하는 현 정권의 태도가 아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