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방송지원본부 채수현
현재 우리 사회의 눈은 6월 국회 개의에 쏠려 있다. 그곳에 관심을 갖는 가장 큰 이유는 지난해 말과 올해 초 여의도 국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미디어관련 법 때문이다. 여당과 야당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혼란 양상으로 가고 있는 가운데 최근까지 그곳의 한가운데서 언론악법 저지를 위해 언론노조 정책실장을 지내며 투쟁한 SBS 채수현 차장을 만났다.
96년도 SBS에 입사한 채수현 차장은 2004년 SBS가 여의도에서 목동으로 이전 개국할 당시 라디오 오디오파일 시스템(SBS Winner)를 개발했다. 그는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을 인정받아 2005년도 AIBD(아시아방송개발원)의 기술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방통위법은 실패작, IPTV 방송 사업법은 반쪽 성공
그가 언론노조에서 첫 업무를 시작할 때 그는 한미 FTA저지를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뛰어 다니며 추운 겨울밤 밖에서 날을 새기도 했다. 이 후 그는 쉼 없이 국회를 오가며 한국 사회의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방통위법, IPTV법, DTV 전환특별법 등의 제정에 많은 관여를 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만들어질 때 대통령 직속 기관이 아닌 독립적인 기관으로 만들어야 하고 회의 내용은 공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결국 대통령 직속기구가 돼 최시중 위원장이 임명됐고 회의내용은 법률이 공개를 원칙으로 했지만 제왕적 위원장 아래서 비공개로 돼버렸다. 만약 독립기구로 출범했다면 현재 최시중 위원장의 독선을 막고 회의내용을 공개 할 수 있도록 했을 것이다. IPTV 법의 경우는 그동안 케이블 방송의 폐해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 직접사용채널과 권역별 시장점유율 제한, 신문과 대기업의 보도, 종합편성채널 소유, 겸영 금지를 관철시킨 것은 성공적이라 편이다. 다만 방통위법은 실패작으로 아쉬움이 남는다.
대기업의 방송진출, 그들이 노리는 것은 언론권력
방통위는 연내 종합편성PP 사업자를 선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종합편성PP는 지상파보다 내용면에 있어 규제가 약한데다 보도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국내 시청가구의 80% 이상이 케이블이나 위성을 통해 TV를 시청해 지상파 못지않은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방송국을 운영해서 많은 돈을 벌기 힘들다. 그들이 노리는 것은 언론 권력이다. 그들은 언론권력을 바탕으로 파생적으로 돈을 벌기가 용의 해진다. 대기업의 언론사는 편향적일 수밖에 없는데, 과거 삼성과 중앙일보의 관계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언론노조의 협력자
채수현 차장은 2006년 9월부터 26개월간 언론노조에 몸을 담았다. 최근 언론노조의 정책 실장 자리에서 내려와 SBS로 복귀 했지만 긴 시간동안 언론노조의 실무를 담당했기에 그가 오랫동안 실무를 맡았던 분야에서는 업무를 내려놓기 힘들다.
“지금은 SBS로 돌아왔지만 대외적인 활동 끊기는 어렵다. 언론 노조에 있으며 언론, 방송, 신문, IPTV, DTV전환 특별법, 정보통신망법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관여를 했다. 내가 지금 완전히 손을 놓기보다는 업무의 흐름이 끊이지 않게 관련 자료조사 등을 하는 식으로 함께 협력하고 있다”
기술인은 미디어환경 전체를 보는 눈을 가져야
채수현 차장은 기술적인 부분들이 많이 들어갈 수밖에 없는 DTV 특별법 제정에 기술인 들이 많이 나서지 않아 법을 정교하지 만들지 못해 많은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법을 제정할 때 국회의 문방위원들은 기술적인 부분들에 대한 이해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러한 상황에 기술인들이 나서야 하지만 그렇지 못 한게 아쉽다. 기술인 스스로가 언론인이라는 생각을 해야 한다. 미디어 언론 환경 전체를 보는 눈이 있어야 한다. 알지 못해 행동을 어떻게 할지 모른다. 특히 우리나라 정책은 정치적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국회와 방통위의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