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용어사전>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디지털용어사전>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1372

 

고대역 디지털 컨텐츠 프로텍션(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는 고화질 컨텐츠의 복제를 막기 위한 보호 수단 중 하나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소스 장치를 통해 재생된 영상 신호가 표시 장치로 전송되는 사이에 이를 가로채 복제하지 못하도록 막는 보호 기술이라고 보면 된다. 좀 어렵게 말하면 디지털(영상, 오디오) 신호가 소스 장치에서 표시 장치로 전해질 때 트랜스미터로 암호화한 장치 사설 키(Device Private Keys)를 넣어 전송함으로써 이 키의 인식 유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여부 또는 표시 수준을 정한다고 볼 수 있다.

 

HDCP는 디지털 컨텐츠 보호 장치이므로 소스 장치와 표시장치를 디지털로 연결할 때만 작동한다. 컴포지트나 컴포넌트, D-Sub 같은 아날로그에서는 작동하지 않고, HDMI나 DVI, UDI 같은 디지털 연결 방식에서만 작동하는 보호 장치인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디지털 연결 단자나 케이블을 쓴다고 다 HDCP가 작동하는 건 아니다. HDCP도 라이센스를 내야만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인텔 자회사쯤 되는 DCP(digital contents protection) LLC가 라이센스를 관리하고 있는데, 이곳에 돈을 내고 라이센스를 얻어야만 한다. 하지만 제품마다 라이센스를 받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탓에 업체들이 HDCP를 신중하게 채택합니다. 중소 업체일수록 그 만만치 않은 비용 때문에 고민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기도 해서 실제 모니터나 TV 중에 HDCP가 들어간 것을 많이 찾아보기는 어렵다.

 

61cm(24인치)급 모니터를 PC용 모니터로만 쓰는 분들에게 HDCP는 그다지 쓸모 없는 것일 수 있다. 모니터의 표시 크기를 더 확장하거나 더욱 풍부한 색을 보여주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HDCP의 채택 여부에 따라서 보호된 고화질 컨텐츠를 재생하느냐 못하느냐를 판가름한다면 어떨까?

 

단순히 모니터로만 쓰겠다면 HDCP를 거들떠 보지 않으셔도 된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모니터를 쓰는 용도에 따라서 HDCP는 확인할 필요는 있다. 보호된 고화질 디지털 컨텐츠를 즐겨야 하는 데 HDCP 없는 장치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PC에 블루레이 디스크나 HD DVD 같은 차세대 장치, 이러한 드라이브가 들어간 멀티미디어 PC, 차세대 영상 플레이어, 플레이스테이션 3 같은 고화질 게임기를 HDCP가 없는 모니터에 붙이면 영상을 볼 수 없거나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HDCP가 당장 중요하지는 않지만, 큰 모니터를 사서 여러 방면으로 활용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면 한번쯤 고려해봐야한다.

남태현 SBS편집위원